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던 사도광산 '도유갱' 내부.사진=서경덕 교수 SNS 캡처/연합뉴스
정부는4일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한다고 밝혔다. 일본 측 추도사에 조선인 노동자 강제성이 충분히 담기지 않았다는 이유다.
정부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강제 노역했다는 점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이 갖춰진다”며 “일본과 협의했으나 강제성 표현에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4일 오전 일본 측에 불참을 통보했으며, 일본은 이를 경청했다.
일본은 오는 13일 사도광산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이나, 정부는 협의 시간 부족으로 참석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대신 가을 중 사도섬에서 한국 자체 추도식을 열 계획이다.
일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추도식은 지역 실행위원회 주최”라며 “한국 결정에 대해 설명할 입장이 아니다”고 밝혔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으로, 지난해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한국의 강제성 반영 요구로 추도식이 약속됐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24일 일본 추도식은 강제성 표현 부족으로 한국이 불참, 별도 행사를 열었다.
정부 관계자는 “추도식이 약속대로 의미 있는 형식으로 개최돼야 한다”며 일본의 전향적 변화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