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NYT) 국가안보 담당 데이비드 필립스 기자는 5일(현지시간) 공영라디오 NPR 인터뷰에서, 2019년 미군 특수부대 실 팀6(SEAL Team 6, Naval Special Warfare Development Group)가 북한 침투 작전을 벌였으나 실패했으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승인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작전은 극도로 복잡했고, 북한 영토에 미군을 투입해 문제가 생기면 인질 사태나 핵전쟁으로 비화할 수 있었다”며 대통령 승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NYT는 이 작전이 김정은 도청을 목표로 했으나, 민간인 선박의 등장으로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9년 초 겨울, SEAL Team 6은 핵추진 잠수함과 길이 8미터(m) 소형 잠수정(‘wet sub’)을 이용해 북한 해안에 침투했다.
대원들은 섭씨 4.4도(℃, 약 40도 화씨) 바닷물에서 2시간 동안 스쿠버 장비와 발열 슈트를 착용하고 해안에 도달, 김정은의 통신을 가로채는 전자 장비를 설치하려 했다.
그러나 길이 4미터(m)의 북한 민간 선박이 접근하며 플래시를 비추자, 발각을 우려한 대원들은 즉시 사격해 비무장 조개 채취 민간인 2~3명을 사살하고 철수했다.
군 내부 조사는 이를 ‘불가피한 불행’으로 결론지었으며, 관련 대원 일부는 이후 승진했다. 이 작전은 2018년 트럼프-김정은 싱가포르 회담과 2019년 2월 하노이 회담 사이에 진행됐으며, 당시 협상은 결렬된 바 있다.
필립스 기자는 “이런 비밀 작전은 연방의회 지도부에 보고해야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은폐했다”며, 2021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작전을 인지하고 뒤늦게 의회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그는 전현직 당국자들이 제보한 이유에 대해 “성공사례만 공개되고 실패는 비밀에 묻히면 특수부대가 항상 성공한다는 잘못된 인식이 퍼진다”며 “이는 대중과 정책결정자에게 왜곡된 시각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이 작전에 대해 처음 듣는다”며 부인했다.
한국 외교부는 “한미동맹의 안보 협력을 지지하며, 관련 보도에 주의 깊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