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권역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사진=서울시/연합뉴스

서울시가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를 기반으로 난임부부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한층 강화한다고 9일 밝혔다.

시는 상담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발판 삼아 상담 대상을 넓히고 프로그램을 다각화하여,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 2023년 7월 서울권역 심리상담센터 개소 이후, 작년 9월 서남권역 센터를 추가로 열며 강남세브란스병원, 송파구 가든파이브, 보라매병원, 금천구 금화빌딩 등 총 4개소의 상담 거점을 구축했다.

이 센터들은 초기 상담부터 고위험군 등록 상담, 사례 관리, 내·외부 의료기관 연계, 자조 모임 및 집단 프로그램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심리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다.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총 665명이 5천944건의 상담을 받았으며, 이 중 1천717건은 고위험군 사례였다.

상담 만족도는 98퍼센트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올해 7월까지 이미 7천714건의 상담을 진행하며 연간 목표의 76.5퍼센트를 달성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운영 실적에 힘입어 서울시는 오는 13일부터 난임부부와 신혼부부의 신체 및 정신 건강을 돌보는 '건강관리 특화 프로그램'을 새롭게 시작한다.

이 프로그램은 영양, 운동, 모바일 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강연과 부부 간 소통을 위한 모임이 8주 과정으로 진행된다.

특히 난임을 극복한 경험이 있는 멘토가 참여 부부와 1대1로 매칭되어 정서적 지지와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1기당 25쌍씩 총 2기를 선착순으로 모집하며, 한국난임가족연합회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아울러 센터는 신혼부부와 직장인 등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난임 인식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건강한 임신 준비 교육'도 준비 중이다.

전문 강사진들이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난임 예방, 건강한 임신 준비,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주제로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교육을 희망하는 기관은 한국난임가족연합회(☎ 02-3431-3382)로 문의하면 된다.

정소진 서울시 건강관리과장은 "난임은 더 이상 개인과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하며 "서울시는 난임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는 든든한 동행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