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스타링크 위성을 쏘아올리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SpaceX)가 무선 주파수 대역을 대규모로 사들여 위성통신과 휴대전화를 직접 연결하는 서비스 확대에 나선다.

스페이스엑스는 8일(현지시간), 미국 통신 서비스 업체 에코스타와 50메가헤르츠(MHz)의 무선 주파수 대역 및 글로벌 이동위성서비스(MSS) 주파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스페이스엑스는 전 세계 어디서든 별도의 단말기 없이 휴대전화에 광대역 통신 및 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은 이번 계약 규모를 약 170억달러(약 23조6천억원)로 추산했다.

스페이스엑스는 전 지구적 모바일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지난해 1월부터 휴대전화와 직접 연결되는 '다이렉트 투 셀(Direct to Cell)' 기능 탑재 스타링크 위성을 궤도에 배치하기 시작했다.

이미 600여 개의 1세대 다이렉트 투 셀 위성이 가동 중이며, 전 세계 600만 명 이상의 이용자에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미국의 티모바일(T-Mobile) 등 각 지역 이동통신사와의 협력을 통해 초기 문자메시지 전송에서 영상통화 기능으로까지 서비스 영역을 넓혀왔다.

이번 주파수 대역 인수를 통해 스페이스엑스는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차세대 스타링크 위성을 설계하고 궤도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환경에서 현재 지상 엘티이(LTE) 서비스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완전한 5세대(5G) 셀룰러 연결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특히 위성 기술과 독점 주파수, 그리고 저궤도에 전례 없는 위성 탑재량을 실어 나르는 스타십 로켓의 결합을 통해 차세대 스타링크 다이렉트 투 셀 서비스가 전 세계 통신 커버리지 공백을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모바일 사각지대를 완전히 없앨 것이라는 포부를 드러냈다.

스페이스엑스의 이번 결정은 기존 이동통신 시장에 상당한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경영난에 시달리던 에코스타는 이번 계약으로 회생 가능성이 커지면서 뉴욕증시에서 주가가 19.91퍼센트(%) 급등했다.

반면 스페이스엑스의 본격적인 이동통신 서비스 진출에 따라 시장 잠식 우려가 커지면서 티모바일(3.90퍼센트(%)↓),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2.39퍼센트(%)↓), 에이티앤티(AT&T)(2.33퍼센트(%)↓) 등 미국의 3대 통신사 주가는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위성통신이 기존 지상 통신망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며 통신 시장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