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의 번화가인 시먼딩(西門町) 거리.사진=연합뉴스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대만에 22년 만에 역전당할 전망이다.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천430달러로 대만(3만8천66달러)에 뒤질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대만의 반도체 중심 고속 성장과 한국의 내수 부진이 겹친 결과다.
단순 비교 결과로, 한국은 2003년 1만5천211달러로 대만(1만4천41달러)을 제친 이후 22년간 우위를 유지해 왔으나, 올해 격차가 좁혀지며 역전된다.
한국·대만 1인당 국내총생산(GDP) 전망
올해 우리나라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따라잡힐 것으로 보인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천430달러로, 대만(3만8천66달러)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사진=연합뉴스
한국의 1인당 GDP 추정치는 정부가 지난달 22일 제시한 올해 명목 GDP 성장률(3.2%)을 적용해 계산됐다.
지난해 명목 GDP 1조8천746억 달러(약 2천585조원)에 성장률을 대입하면 올해 명목 GDP는 1조9천345억 달러(약 2천670조원)로 산출되며, 이를 통계청 추계 인구 5천169만명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대만 통계청은 이달 10일 올해 1인당 GDP를 3만8천66달러로 전망했다.
2018년 한국(3만5천129달러)과 대만(3만3천437달러) 간 격차가 1만 달러에 달했으나, 이후 급속히 좁혀진 바 있다.대만의 추월 배경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있다.
올해 2분기 대만의 실질 GDP는 작년 동기 대비 8.01% 증가해 2021년 2분기(8.28%)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를 반영해 대만 통계청은 지난달 15일 올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3.10%에서 4.45%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 전망치는 2.81%로 제시했다.
반면 한국은 올해 2분기 실질 GDP가 전 분기 대비 0.7% 증가, 작년 동기 대비 0.6%에 그쳤다.
하반기 민간 소비 회복 조짐이 있지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등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와 내년 실질 GDP 성장률을 각각 0.9%, 1.8%로 전망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 올해 잠재성장률(1.9%)을 밑돌 것으로 지난달 22일 내다봤다.
이에 따라 상징적인 1인당 GDP 4만 달러 달성도 대만이 한국보다 앞설 가능성이 크다.
대만 통계청은 내년 1인당 GDP를 4만1천19달러로 전망해 사상 처음 4만 달러 선을 돌파할 것으로 봤다.
한국은 정부의 내년 경상 성장률 전망치(3.9%)를 적용해도 3만8천947달러에 머물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은행의 실질 성장률 전망치(1.6%)를 고려하면 더 낮아질 수 있다.
원화 약세가 장기화되면 격차가 더 벌어질 여지도 있다. 원/달러 환율이 1천400원에 육박하는 상황이 지속될 경우 명목 GDP 환산 가치가 하락한다.
박정우 노무나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붐에서 대만 테크 기업들이 국내 투자도 공격적으로 하고 있다”며 “대만 잠재성장률이 3%를 웃돌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올해 2% 미만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소득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며 “최근 한국 테크 기업들의 위상이 위축되는 점을 직시하고 대만 기업 따라잡기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 전망은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국제통화기금) 자료와도 부합한다.
IMF는 올해 한국 1인당 GDP를 3만4천642달러로 추정하며 대만 추월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대만의 성장률 상향(2025년 2.9%)을 반영해 격차 확대를 예상한다.
대만의 반도체 특수가 지속되면 아시아 경제 지도가 재편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