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민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오는 2027년 처음으로 4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정부가 추산했다.
이는 정부가 제시한 경제 성장 경로가 순조롭게 유지될 경우 가능한 시나리오이나, 고공행진하는 원/달러 환율이 변수로 작용할 경우 달성 시점이 2028년으로 한 해 늦춰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오늘 14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통계청 등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GDP는 지난해 3만5천223달러에서 올해 3만7천430달러로 증가하고, 2026년 3만8천947달러를 거쳐 2027년에는 4만526달러에 이르며 4만 달러 선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이후 2028년 4만2천208달러, 2029년 4만4천4달러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전망치는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 및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포함된 경상성장률 전망치를 토대로 산출되었다.
정부는 2025년 3.2%, 2026년 3.9%, 2027년 3.9%, 2028년 4.0%, 2029년 4.1%의 경상성장률을 예상하고 있다.
1인당 GDP 4만 달러 추산은 지난해 경상 GDP 1조8천746억 달러에 각 연도의 성장률을 적용한 후,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른 총인구로 나누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국민 1인당 국내총생산(GDP) 추산치
14일 기획재정부·한국은행·통계청 등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GDP는 2027년 4만526달러로 사상 처음 4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지금처럼 고공행진하면, 4만 달러 돌파 시점은 2028년으로 한 해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사진=연합뉴스)
한국이 1인당 GDP 3만 달러를 처음 넘어선 것은 2016년(3만839달러)이었다.
이후 2018년 3만5천359달러까지 증가했지만, 2019년 3만3천818달러와 2020년 3만3천652달러로 2년 연속 감소하는 등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부침을 겪었다.
2021년에는 정부의 소비 진작책,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3만7천503달러를 기록했으나, 2022년에는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 악화 및 수출 둔화로 3만4천810달러로 다시 감소한 바 있다.
현재로서는 1인당 GDP 4만 달러 돌파 시점의 가장 큰 변수는 환율이다.
2027년 돌파 전망은 환율이 지난해 수준인 1,364원대를 유지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지만, 올해 들어 지난 12일까지의 평균 환율(주간 종가 기준)은 1,413.6원으로 예상치보다 훨씬 높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 고조와 미국의 관세 위협 지속 등의 영향으로 환율은 올해 상반기 1,500원 수준까지 근접했고, 지금도 1,400원대 턱밑에서 움직이고 있다.
만약 환율이 1,390원 수준을 유지한다면, 2027년 1인당 GDP는 3만9천767달러에 그쳐 4만 달러 돌파는 2028년 4만1천417달러가 되어서야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정부가 예상한 성장 경로에서 벗어날 경우 1인당 GDP 4만 달러 달성은 더욱 지연될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1인당 GDP가 2029년(4만341달러)에야 4만 달러 선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하며 정부보다 보수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IMF는 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2027년 달성을 예상했지만, 환율 상승과 저성장 고착화 조짐을 반영해 전망을 수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