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서울현충원의 안장 가능 기수가 단 43기밖에 남지 않아 오는 2030년 이후에는 사실상 만장 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정문(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일 국가보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립서울현충원의 전체 안장 능력은 총 5만4천810기인데 현재 5만4천767기가 이미 안장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잔여 안장 기수는 43기에 불과하다.
세부 묘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국가원수 묘역은 4기 모두 만장되었으며, 독립유공자(220기)와 장군(355기) 묘역 역시 이미 채워진 상태이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반 묘역 5만3천292기도 만장되었다.
아직 여유가 남아 있는 묘역은 경찰 묘역과 임정요인 묘역이다. 경찰 묘역은 906기 중 878기가 안장되어 28기가 남아 있으며, 임정요인 묘역은 33기 중 18기가 차서 15기가 남아 있다.
국가보훈부는 경찰 묘역이 2027년, 임정요인 묘역이 2030년 이후에는 만장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의원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경찰 묘역의 경우 금방 만장 상태가 될 것이고, 소방 공무원의 경우에는 묘역조차 없어 서울현충원의 묘역 추가 조성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순직한 고(故) 이재석 경사처럼 국가와 국민에 헌신하는 제복 근무자들의 희생에 대한 예우는 끝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국립서울현충원의 안장 능력 부족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