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검사.사진=연합뉴스

최근 5년 사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감염된 내국인 수가 약 30퍼센트(%) 가까이 줄어든 반면, 외국인 감염자는 절대적 숫자는 적으나 20퍼센트(%)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대 남성이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에서 고위험군으로 확인되었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에이치아이브이(HIV) 내국인 감염자는 지난 2019년 1천6명에서 지난해 714명으로 29퍼센트(%)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연령대로는 20~30대가 고위험군으로 파악됐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내국인 감염자 중 남성이 683명, 20~30대가 472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 에이치아이브이(HIV) 감염자는 지난 2019년 217명에서 지난해 261명으로 20.1퍼센트(%) 증가했다.

외국인 감염자 또한 남성이 182명, 20~30대가 179명(이상 지난해 기준)으로 내국인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감염자들의 치료율(진료율)과 치료 성공률(체내 바이러스 억제율)은 모두 90퍼센트(%)대 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1년간 진료비 신청 내역이 없는 감염자를 기준으로 한 치료 중단·이탈률은 지난 2019년 5.6퍼센트(%)에서 2023년 8.2퍼센트(%)로 2.6퍼센트포인트(p) 상승했다.

김미애 의원은 이와 관련하여 "외국인 감염병 관리는 연결이 특히 중요한 만큼 정부는 외국인 대상 다국어 안내와 조기 검사 채널을 확대하고, 치료 이탈을 줄이는 현장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출신국 특성과 체류 형태를 반영한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