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사진=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하면서도,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과 장기적인 재정건전화 노력을 강하게 주문했다.

이는 기획재정부가 24일 공개한 IMF 한국미션단의 연례협의 결과에 따른 것이다.

IMF는 지난 11일부터 2주간 진행한 연례협의 결과,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9%로 0.1%포인트 높였다.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공식 전망치(0.9%)와 동일한 수준으로, 완화된 재정·통화 정책과 견조한 대외 반도체 수요가 올해 성장률을 견인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내년 성장률은 지난 7월 전망치인 1.8%를 그대로 유지했다.

2025 IMF 연례협의 결과 브리핑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이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IMF 연례협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IMF 한국미션단의 라훌 아난드 단장은 발표문에서 불확실성 완화, 완화적 정책의 효과 본격화, 기저효과 등으로 내년에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8%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MF는 인플레이션이 내년까지 목표 수준인 2% 가까이에 머무를 것으로 보면서도, "전망 불확실성이 높고 위험은 하방 리스크가 더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단기적인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 특히 가계대출 증가 억제 및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해소를 위한 선제적 정책이 "금융부문의 취약성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다.

IMF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 한국미션단은 11일부터 2주간 진행한 연례협의 결과,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0.1%포인트 높였다.사진=연합뉴스


IMF는 매년 4월과 10월에 전체 회원국의 경제전망을,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을 상대로 수정전망을 발표하며, 이번 연례협의단 견해는 다음 달 IMF 공식 경제전망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아난드 단장은 단기적 정책 방향의 긍정적 평가와 별개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을 가속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생산성 격차를 줄이고, 인공지능(AI) 대전환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동시에, 혁신과 AI 대전환의 이점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장기 재정지출 압력에 대응할 여력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건전화 노력을 재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연금제도 개편, 재정수입 조성, 지출효율성 향상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중기 재정 프레임워크를 개선해 신뢰가능한 중기적인 재정 앵커(anchor·목표치)를 도입하는 것이 장기적인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