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3일 월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연합뉴스
(미국 인민의 권리론 연속(4))
제 오관은 인민이 정치상에 임의로 논란(편집자 해석: 의견을 자유롭게 나누며 토론함)도 하고 논설(편집자 해석: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거나 글로 표면함)도 지어 각기 자유로 하나니, 그 권리가
일(一)은 글을 마음대로 지어 각기 자유로 행함이오.
이(二)는 모든 백성이 다 말하기와 글짓기를 자유로 하는 권리가 있어 막지 못하되 다만 방한(편집자 해석: 제한하거나 막는 장치 또는 규제)이 있어 그 책임을 담당치 못할 자는 무단히 행함(편집자 해석: 실제로 행동하거나 실행함)을 허락지 아니하며,
제 육관은 인민이 회(會, 편집자 해석: 모임, 집회)를 모아 모여 의론(편집자 해석: 의견을 나누고 토론함)하는 것을 자유로 하게 하나니,
일은 모든 백성들에게 유조(편집자 해석: 도움이 되는 일)할 일에 모여 의론하는 것은 자유로 하기를 금하지 못함이오,
이는 백성이 모여 공번(편집자 해석: 공공의 분노, 여러 사람이 함께 분노하거나 억울함을 느끼는 상태)되게 관계되는 일에 설치(雪恥, 편집자 해석: 수치를 씻음, 억울하거나 부끄러운 일을 바로잡고 명예를 회복하는 것) 신원(伸寃, 편집자 해석: 억울함을 풀어줌, 부당한 일을 바로잡아 억울함을 해소하는 행위)하려는 자는 자유로 모여 청원하기를 금하지 못함이오.
제 칠관은 평민이 군인이 행패(行悖, 편집자 해석: 폭력적이고 부당한 행동, 특히 권력을 가진 자가 약자에게 함부로 행동하는 것) 포학함을 받지 않게 함이니,
일은 무관이 반드시 문관 아래 처함이오.
이는 태평할 때에는 군사를 기르지 못함이오.
삼은 태평할 때에 평민의 집에 주인 허락을 듣지 않고 병정을 유숙(편집자 해석: 머무르며 잠을 자는 것)치 못하게 하며,
사는 사람마다 칼과 총을 몸에 임의로 자녀 보호하며 병기를 만들게 하되, 다만 비밀히 감추지 못하며,
제 팔관은 시세에 합당치 못한 법률이 있어 백성이 괴로움을 당하는 자는 마땅히 고쳐 폐단(편집자 해석: 해롭고 부당한 점)을 제할 일이니,
일은 법률 범하기 전에 범한 죄인을 법률 정한 후에 다스리지 못함이오.
이는 온 나라 관민이 합하여 정한 일을 그 후에 정한 법률과 합하지 않는다고 폐하지 못할 일이오.
삼은 기왕 행하기 시작하는 법률은 의회원(편집자 해석: 의회 구성원, 즉 국회의원)에서 회의하고 잠시 정지(편집자 해석: 잠시 멈추거나 중단함)하기 외에는 아무도 폐(편집자 해석: 없애거나 무효로 함)하는 권리가 없으며,
제 구관은 송민(訟民, 편집자 해석: 소송에 관련된 백성) 중 피고 된 자의 권리를 보호함이니, 이는 자고로 전제정치(편집자 해석: 권력이 한 사람이나 소수에게 집중되어 있는 정치 체제) 하는 나라에서들은 송민을 공평히 대접하지 못하여 폐단이 가장 심한 고로, 이런 폐단을 미리 막고자 하여 특별히 피고(편집자 해석: 소송에서 고소를 당한 사람)를 보호하는 권리를 마련함이니,
일은 죄인 중에 난리를 일으킬 죄범 외에는 능히 오래 가두고 판결하는 폐단이 없을 것이오.
이는 살인죄범 일관 외에는 무론 무슨 죄상이든지 다 속(贖, 편집자 해석: 벌금을 내고 형벌을 면하는 것, 즉 금전으로 형벌을 대신하는 제도)을 바치고 면하거나 혹 보방(保放, 편집자 해석: 보석, 일정한 조건(보조금 등)을 걸고 피고를 석방하는 제도)하거나 다 막지 못할 것이오.
삼은 보방증인의 구문(口文, 편집자 해석: 증인의 구술 진술, 말로 하는 증언)을 많이 받지 못하며,
사는 재판정에서 심판할 때에 무론 어떤 백성이든지 들어와 방청하게 할 것이오.
오는 죄범을 곧 그 범법한 지방에서 다스릴 것이고 멀리 이송치 못하며,
육은 태서에 옛 법을 따라 재판할 때에 매양 배심관(陪審官, 편집자 해석: 피고가 유죄인지 무죄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참여하는 일반 시민)을 정하나니, 이는 검사 외에 따로 열두 사람을 택하여 검사와 함께 앉아 재판하여 양편 공초(供招, 편집자 해석: 피고나 증인이 법정에서 진솔한 내용, 자백이나 증언을 의미)와 법관의 처판(處辦, 편집자 해석: 판결 또는 처리, 법관이 사건을 어떻게 결정하고 처리하는지를 뜻함)하는 것을 살피다니, 서양에서는 의례히 배심관이 있는 법이라. 그러나 여간 사소한 일에는 원피고가 다 자원하면 혹 배심관이 없어도 관계치 아니하나, 하나라도 허락지 아니하면 배심관을 폐치 못하여,
칠은 토지와 재산에 관계가 되거나 혹 명예에 손해되는 일은 어떤 사람이든지 법정에 호소하되 상하 관민 귀천의 등분을 구별하지 않을 것이다.
팔은 피고를 잡을 때에 마땅히 그 잡는 연고(편집자 해석: 이유, 근거)와 사건의 관계를 먼저 알려 줄 것이고,
구는 심문할 때에 원고가 마땅히 분명한 증거를 대질(對質, 편집자 해석: 원고와 피고 또는 증인 간에 서로 마주보며 진술을 확인하는 절차) 설명할 것이고,
십은 피고가 법정에서 일어서서 자의로 변명도 하고 혹 법률사가 대인(代人, 편집자 해석: 대리인, 법률 전문가가 피고를 대신해 변호하는 것을 의미)하여 변명도 하며,
십일은 백성을 위협으로 늑초(勒招, 편집자 해석: 강제로 자백을 받는 것, 고문이나 협박으로 진술을 강요하는 행위)를 받지 못할지니, 동양 글에는 죄 의심 있는 자는 경(편집자 해석: 가볍게, 관대하게)하게 판결한다 하며, 서양 속언에는 열 죄인을 놓는 것이 한 무죄한 사람을 벌하는 것보다 낫다 하였으며,
십이는 죄를 정하여 판결하기 전에는 죄인이 아니니 성명 재산에 자주 권리를 손해하지 못하며, (편집자 해석: 판결로 죄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죄인이 아니므로, 그 사람의 이름과 재산에 대해 함부로 침해하거나 손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
십삼은 한 번 판결한 후에는 다시 변개(變改, 편집자 해석: 이미 내린 판결을 바꾸거나 수정하는 것, 재심이나 번복)하거나 혹 놓았다가 다시 가두지 못하며,
(미완)
(다음 호는 10월16일 제251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