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가계대출 목표·증가액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은행 중 NH농협은행과 신한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은 금융당국에 보고한 '연간 대출 증가 목표(경영계획 기준 정책성 상품 제외)'를 초과한 상태다.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 강화 등 대출 규제를 검토 중인 가운데, 일부 시중은행은 이미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를 초과했다.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 목표 2조1천200억원을 제시했으나 9월 말 기준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2조3천202억원(목표 대비 109%) 늘었다.

신한은행도 목표 1조6천375억원을 초과해 1조9천668억원(목표 대비 120%)을 기록했다.

하나은행은 8천651억원(목표 대비 95%), KB국민은행은 1조7천111억원(목표 대비 85%)으로 대출 여력이 빠듯하다.

은행들은 총량 관리를 위해 대출모집인 채널 접수를 중단하고, 신규 대출 제한 및 기존 대출 상환 유도를 진행 중이다.

금융당국은 연말까지 총량 목표 준수를 강조하며, 목표 초과 은행에 내년 대출 한도 축소 페널티를 부과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일부 은행이 신규 대출을 제한할 수 있으나 모든 은행이 창구를 닫는 것은 아니므로 대출 절벽은 없을 것”이라며 “총량 관리 혼란은 감내할 것”이라고 밝혔다.

2금융권도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7월 말 가계대출 잔액이 62조3천억원으로 지난해 말(60조2천억원) 대비 3.48% 증가하며 목표를 초과해 주택담보대출 접수를 중단했다.

한 상호금융업계 관계자는 “연말에는 신규 대출 여력이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DSR 한도를 현행 40%에서 35% 안팎으로 낮추거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에서 4억원으로 축소, 일정 수준 주택 가격 초과 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Loan to Value Ratio)을 0%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한 금융권 관계자는 “한도 축소가 선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며 “규제 일변도는 실수요자의 자금 경색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