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남용 (PG).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3년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이 인구 1천 명당 하루 31.8 디아이디(DID, DDD/1,000 inhabitants/day)를 기록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회원국 중 2위에 올랐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발표된 오이시디(OECD) 보건 통계에 따르면, 이는 2022년 25.7 디아이디(DID)(오이시디(OECD) 평균 18.9 디아이디(DID)의 1.36배)보다 증가한 수치다.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균(슈퍼박테리아)을 키워 국민 건강을 위협한다.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19년 항생제 내성을 인류 생명 위협 10대 요인으로 지목했으며, 내성균 감염은 치료 난항, 입원 기간·비용 증가, 사망 위험을 초래한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11월부터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SP,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전문 인력을 통해 필요한 경우에만 최적의 항생제를 적정 용량과 기간으로 사용하도록 관리한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태조사 결과, 참여 병원은 100퍼센트(%)가 제한항생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미생물 검사 기반 항생제 변경 중재(59.2퍼센트(%))가 미참여 병원(10퍼센트(%) 미만)을 앞섰다. 다만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중 53.6퍼센트(%)가 전문 인력 부족으로 참여하지 못했다.

질병관리청은 2차년도 공모를 준비하며 전문인력 교육과 지침 개발을 확대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항생제 적정 사용이 노인과 어린이의 생명을 지킨다”며 “이 사업이 의료 문화로 정착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