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대만) 국가안전국.사진=국가안전국 캡처/연합뉴스


대만 정보당국이 내년 11월로 예정된 대만 지방선거에 중국의 간섭이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15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 현지 언론은 대만 국가안전국(NSB, National Security Bureau)이 최근 입법원(국회)에 제출한 국가정보업무 관련 최신 보고서에서 중국이 대만의 지방선거를 앞두고 개입을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국가안전국은 수년간 국가안보 정보팀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150만개 이상의 메시지와 1만8백여개에 달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비정상 계정을 적발했다고 강조했다.

국가안전국은 중국이 '대만 내 친중 세력을 이용한 대만 공격'이나 '2차 가공' 등의 수법을 통해 대만 내 '미국은 믿을 수 없다'는 여론을 조성하거나 내부의 대립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가안전국은 증거 포착에만 2년에서 3년이 소요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올해 들어 정부의 인터넷서비스네트워크(GSN, Government Service Network)에 대한 일평균 사이버 공격 발생 건수가 2백82만건에 달했다고도 발표했다.

사이버 공격이 정부와 핵심 인프라 시설, 산업 공급망, 대외협력 및 민감한 기술 정보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국이 국가 전략적 측면에서 국방, 외교, 의료, 통신, 에너지 등 분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통해 정보 수집 외에 핵심 인프라 시설을 통제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국가안전국은 민주적 선거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사전에 전담 직원을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식 명칭이 '2026 중화민국지방공직인원선거'인 내년 선거는 직할시와 현(縣) 등의 지방 각급 단체장과 각급 지방 의회 의원들을 선출한다.

이번 선거는 2028년 1월 치러지는 차기 대만 총통선거와 입법위원(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전초전 성격으로 평가된다. 동시에 지난해 취임한 '친미·독립' 성향의 라이칭더 총통의 내치와 외교,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 등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도 있다.

한편, 중국 본토의 대만 선거 개입 의혹은 오는 18일로 예정된 제1야당 국민당의 주석(대표) 선거와 관련해서도 제기됐다.

집권당인 민진당 측은 앞서 중국의 선거 개입이 멈춘 적 없고 국민당도 이제 피해자가 됐으며 실질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친중 성향으로 분류되는 국민당의 주석 선거에 대해 중국의 대만 담당 기구인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천빈화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당 주석 선거는 국민당 내부의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양안 관계의 역사는 '하나의 중국' 원칙과 '92공식'(九二共識·1992년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을 지지하면 개선되고 발전된다는 것을 거듭 증명해 왔다"라며 "우리는 '92공식'을 지지하고 대만 독립에 반대하는 공통의 정치적 토대 위에서 국민당의 새로운 지도자와 함께 양안 관계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가안전국은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중국 간첩 혐의로 기소된 인원이 24명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현역 및 퇴직 군인이 13명으로 54%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기소된 이들은 금전적 유혹 등으로 포섭됐으며 대만군과 정부 조직 침투, 기밀 정보 입수, 대만 내 무장조직 발전 등의 활동을 벌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