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4일 화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미국 인민의 권리론 연속(5))
이상 연일 논설에 아홉 가지 권리 표한 것은 다 장정에 낱낱이 실어서 인민이 모두 행하는 바이니, 동양에 미개한 나라들의 문구치레(편집자 해석: 실질적인 제도나 실행 없이, 말이나 글로만 그렇듯하게 꾸미는 형식적인 표현) 와는 판이한지라. 이 조목을 오늘날 누가 합당치 않다 하며, 분수(편집자 해석: 자신의 처지나 능력에 맞는 한도, 또는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나 한계)에 지나다 하리요. 마땅히 열린 사람은 다 즐겨함을 마지않을지라.
그러나 이것이 다 자연히 되거나 위의 사람들이 다 자의로 하여 준 것이 아니라, 실상은 다 그 조상과 부형네가 무난히 신고하여 영광스러운 피를 한없이 흘리며, 귀한 돈을 한없이 허비하고, 비로소 이러한 향복(享福, 편집자의 해석: 행복하고 평안한 삶을 누리는 것)의 기초를 잡아놓아 후생에게 끼친 고로, 후세 사람들이 또한 값지게 보호하여 그 법의 얻은 권리를 일호(편집자 해석: 매우 작고 미세한 단위)도 잃지 않기를 목숨보다 중히 여겨 행함이라.
그 권리를 보호하는 법이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교회요, 하나는 학당이라. 이 두 가지가 서로 찬조하여 문명부강을 이루었나니, 이는 교화(편집자 해석: 가르쳐서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바르게 이끄는 것)로써 인민의 마음을 활발케 하여 압제한 풍기(편집자 해석: 사회의 도덕적 질서나 기강)와 악한 풍속의 결박함을 면하여 스스로 일군 것이니, 옳은 도로 주장을 삼아 사람마다 자기 몸을 먼저 다스려 남의 다스림을 받지 않을 만치 된 후에야 스스로 주장하는 마음이 생기며, 자주(自主, 편집자 해석: 자기 뜻대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할 줄 아는 후에야 자유(自由, 편집자 해석: 외부의 강제나 구속 없이 자기 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상태)하는 완전한 지위에 이르러, 지혜(智慧, 편집자 해석: 사물의 이치를 꿰뚫는 슬기와 판단력)와 덕화(德化, 편집자 해석: 도덕적 선함을 통해 사람을 감화시키는 것)로써 남에게 전하여 자유의 권력이 점점 넓어지게 하나니, 이것이 덕화의 뿌리에서 자유 실과(편집자 해석: 실제로 맺힌 열매)가 열린 것이다.
미국이 영국을 면하고 자주독립한 것이 세계에 빛난 사적이라. 그 귀중히 여김을 말할진대 한갓(편집자 해석: 단지, 오직, 겨우) 인민의 권리(權利, 편집자 해석: 개인이나 집단이 법적으로 또는 도덕적으로 누릴 수 있는 정당한 힘이나 자격) 한 가자니, 양력 칠월 초사일이 미국의 독립 명일이라. 이 날은 전국이 제일 큰 명일로 쳐서 기념 예식을 행하며, 격서(편집자 해석: 옛날에 주장이나 명령을 널리 알리기 위해 발표한 글)의 주장 뜻을 외우고 애국가를 부르므로, 타국에라도 미국 국기 꽂인 곳은 다 경사로운 날이라. 전망(戰亡, 편집자 해석: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것, 전사(戰死))한 공신들의 분묘에 남녀노소가 올라 경축하며 꽃을 펴고 영광을 들어내므로, 백 년 전 지난 일이 어제 같이 새롭게 감동한 눈물이 스스로 내리므로, 이 천지에서 성장하는 어린아이들의 애국하는 충심을 배양하며 독립할 뜻을 굳게 하나니, 이 어찌 우연한 일이라 하리오.
오늘날 미국의 흥함과 구라파(편집자 해석: 유럽) 각국의 흥왕함을 볼진대, 백성이 권리 있는 나라는 새로이 흥하고, 권리 없는 나라는 쇠하는(편집자 해석: 약해지고 몰락하는 것) 이치를 소상히 알지라, 지금 청국을 볼진대 백성이 사억만 명이라. 온 세계 인민의 사분지 일을 가지고도 능히 따로 서지 못하니, 이는 백성에 자주하는 권리가 없는 연고라. 위아래가 서로 붙들지 못하며, 사지백체(편집자 해석: 국가 구성원 전체 또는 사회의 각 부분)가 서로 보호하지 못하여 반신불수(편집자 해석: 몸의 절반이 마비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 된 병인(편집자 해석: 국가나 사회가 병든 사람처럼 기능을 상실한 상태)과 같이 되었으니, 더욱이 청국보다 작은 나라가 이 세상에서 백성의 권리를 모르고 지내고자 할진대 어찌 수족을 결박하고 앉아 도적을 막고자 함과 다르리오.
미국에 백성 권리를 인연하여 생긴 관민의 일체 이익을 볼진대, 다만 백성의 향복(享福)만 장할 뿐 아니라, 정부 관인들의 영귀(편집자 해석: 영화롭고 귀함, 즉 높은 지위와 명예)와 복락(편집자 해석: 복과 즐거움, 즉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만족)이 더욱 굉장하니, 어느 나라든지 그 나라에 뿌리 된 백성을 먼저 힘있게 만들진대 미국 같이 흥왕 되기를 판단(判斷, 편집자 해석: 사물의 옳고 그름이나 가능성을 분별하여 결론을 내리는 것)코 알 일이거늘, 어두운 사람들이 이것은 모르고, 백성의 권리가 있는 날은 위의 권리는 없어지는 법이라 하니, 어찌 어리석지 않으리오.
청컨대 일본과 영국을 보라. 이 두 나라가 다 백성의 권리 있는 나라로 황실에 위엄과 영화가 더욱 드러나, 그 나라 신민 된 자는 황실 보호하기를 제 몸보다 몇 층 중히 여기는 고로, 타국인이 혹 영인이나 일인을 대하여 그 황실에 실례되는 말을 할진데 어린아이라도 반드시 변색(편집자 해석: 얼굴빛이 변함)하고 설분(편집자 해석: 분함을 씻음, 즉 모욕이나 부당함에 대해 항의하거나 반박하여 분노를 해소하는 행동)하기를 생각하여 제 몸에 안위(편집자 해석: 안전과 위태로움, 즉 자신의 생명이나 신체의 안전)와 이해를 돌아보지 않나니, 백성의 권리가 없어 가지고 황실이 외국의 보호를 받는 나라와 비교하면 어느 나라 황실이 참 태평 만만세에 부강안락(편집자 해석: 부유하고 강하며 평안하고 즐거운 상태, 즉 국가가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정치적으로 안정된 이상적인 상태)하다 하겠느뇨. 나라에 신민 된 자. 일체(편집자 해석: 모든 것, 전부)로 생각할 일이라 하노라.
(다음 호는 10월18일 제252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