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고지에서 유해 발굴하는 장병들.사진=국방부/연합뉴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은 15일 국방부가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내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을 약 3년 만에 재개한 결정에 대해 “안보를 허무는 굴종적이고 자해적인 선택”이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한 의원은 정부에 일방적 발굴 계획 재검토와 안보 대비태세 마련을 요구했다.
한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유해발굴 재개 결정에 깊은 우려와 함께 강력한 규탄을 표한다”며 “숭고한 희생으로 지켜낸 백마고지를 스스로 내어주는 것은 아닌지 참담할 따름”이라고 밝혔다.
그는 “더 큰 문제는 남북 합의 없이 우리 측의 일방적 결정으로 추진된다는 사실”이라며 “이는 군사적 긴장 완화나 남북 협력이 아니라 안보를 허무는 자해적 선택”이라고 비판했다.
한 의원은 특히 2018년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이 철원 DMZ에서 공동 유해발굴을 약속했으나 북한이 참여하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일방적 발굴이 안보 리스크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에 “적의 진격을 차단할 실질적 계획과 안보 대비태세를 우선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국방부는 15일 오전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로 2022년 중단된 강원도 철원 백마고지 유해발굴을 재개했다”고 발표했다.
국방부는 “전사자 유해를 가족과 조국의 품으로 돌려보내고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들기 위한 실질적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2019년 4월부터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424구와 유품 10만1천816점을, 2021년 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백마고지에서 유해 67구와 유품 1만5천670점을 발굴한 바 있다.
국방부는 다음 달 말까지 160여 명을 백마고지에 투입해 과거 수습하지 못한 유해 50구를 우선 수습할 계획이다.
이번 재개는 9·19 군사합의 복원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유엔군사령부와 사전 협의 후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