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허웨이둥 전 중국 중앙군사위 부주석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중국군이 공식 서열 3위였던 허웨이둥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포함해 고위직 9명을 숙청했다.

이는 '시진핑표 반부패' 숙정 작업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졌으며, 과거 숙청된 궈보슝·쉬차이허우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의 이름까지 수년 만에 군 기관지에 다시 등장하며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중국군 기관지 해방군보는 18일 '군대 반부패 투쟁을 확고부동하게 끝까지 진행하자'는 논평을 통해 전날 고위직 숙청 발표에 대해 "당 중앙과 중앙군사위가 반부패 투쟁을 끝까지 진행하겠다는 굳건한 결심을 다시금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군과 무장경찰부대 장병은 당 중앙 결정을 단호히 옹호하고, 당 중앙과 중앙군사위, 시 주석의 지휘에 굳게 복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방군보는 허웨이둥·먀오화·허웅쥔 등의 부패 문제를 "궈보슝·쉬차이허우의 해독(流毒)이 발효·변이된 것"으로 규정하며, 현재의 반부패 투쟁이 시진핑 체제가 들어선 2012년 제18차 당대회 이래 정풍·반부패의 연속이자 인민군대 재구축의 심화라고 평가했다.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 시절 중국군 지도부인 중앙군사위 부주석을 지냈던 궈보슝·쉬차이허우는 시진핑 주석 집권 후 부패 사건에 연루되어 2014년~2015년 모두 실각했다.

해방군보 등 중국 매체들은 이 두 사람을 군 내 부패의 '몸통'으로 지목했고, 시 주석은 2017년 해군 시찰 당시 "궈보슝·쉬차이허우 해독의 영향을 전면적이고 철저하게 없애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후 한동안 중국의 공식 언급에서 사라졌던 두 사람의 이름이 이번 고위급 숙청을 계기로 '발효·변이'라는 표현과 함께 다시 거론된 것이다.

중국 국방부는 전날 오후 허웨이둥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과 군 서열 5위였던 먀오화 전 중앙군사위 정치공작부 주임 등 부패 혐의가 있는 군 고위직 9명의 당적과 군적을 박탈한다고 발표했다.

숙청 대상자 명단에는 허훙쥔 전 중앙군사위 정치공작부 상무부주임, 왕슈빈 전 중앙군사위 연합작전지휘센터 상무부주임, 린샹양 전 동부전구 사령원(사령관), 친수퉁 전 육군 정치위원, 위안화즈 전 해군 정치위원, 왕허우빈 전 로켓군 사령원, 왕춘닝 전 무장경찰부대 사령원도 포함되었다.

허웨이둥 전 부주석은 올해 3월 이후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그의 숙청설이 주목받았다.

낙마가 공식화되면서 허 전 부주석은 문화대혁명 기간인 1967년 실각한 허룽 전 부주석 이후 처음으로 실각한 중앙군사위 부주석이자, 2017년 쑨정차이 전 충칭시 당서기 이후 처음으로 당적을 박탈당한 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싱가포르 연합조보는 커우젠원 대만정치대학 교수 및 텅런우 베이징사범대 교수를 인용하여, 이번 숙청 발표가 나온 9명에게 공식 발표된 경제적 부패 문제 외에 '파벌 형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을 제기했다.

숙청 대상자들이 경력을 쌓은 부대들을 살펴보면 허웨이둥·먀오화를 중심으로 한 연관성이 관찰되며, 최근 반부패 캠페인의 타깃이 된 로켓군·군수 부문과의 연관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전날 공식화된 고위급 숙청으로 서열 3위 허웨이둥 전 부주석이 실각하고 서열 5위였던 먀오화 전 주임까지 낙마하면서, 정원 7명인 중국군 지도부인 중앙군사위에는 시진핑 주석과 장유샤 부주석, 류전리·장성민 위원 등 4명만 남은 상태이다.

기존 중앙군사위 한 자리를 차지했던 중국 국방부장은 리상푸 전 부장의 부패 혐의 숙청 이후 아직 중앙군사위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는 20일 개막하는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20기4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 재구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해외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류전리·장성민 위원 중 한 사람이 부주석으로 승격하고 둥쥔 현 국방부장이 새롭게 중앙군사위원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