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달 캄보디아 범죄조직 금융제재 추진 전망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감금 등 조직범죄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정부가 이르면 이달 중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에 착수할 전망이다. 사진은 이날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프린스그룹 본사.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에서 발생하는 국제적 사기 범죄에 대한 한국의 우려가 고조된 가운데, 일본 정부 또한 수년 전부터 캄보디아 방문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취업 알선 빙자 사기 피해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고해온 것으로 19일 나타났다.
일본 외무성은 캄보디아 특정 지역에 대해 '도항 중지 권고'에 준하는 높은 수준의 위험 경보를 발령하며 자국민 보호에 나섰다.
일본 외무성 해외 안전 홈페이지에 따르면, 캄보디아 내 태국과 국경을 접한 일부 지역은 '도항 중지 권고' 수준에 버금가는 '대피 권고' 다음의 높은 위험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외무성은 "최근 '해외에서 단기간에 고수익', '간단한 번역 작업' 등 좋은 조건을 미끼로 외국행을 권유한 후, 캄보디아 도착 직후 여권과 연락 수단을 빼앗아 외출을 제한한 감금 상태에서 전화 사기 등 불법 행위에 종사하게 하는 사안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명시하며 그 심각성을 경고했다.
또한, 지인의 소개로 캄보디아 취업을 검토할 경우 근무처의 신용도와 안전 확보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캄보디아 일본대사관은 2022년 8월 유사한 내용의 주의 글을 홈페이지에 게재한 바 있다.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하는 사기 사건은 계속되고 있다.
아이치현 경찰은 지난 7일 일본인 29명을 관리하며 전화 사기 범죄를 저지른 중국인 2명을 구속했다.
이들은 캄보디아 북서부 포이펫에서 아이치현에 거주하는 일본인에게 전화를 걸어 경찰을 사칭, 약 한화 4천7백30만원(5백만엔)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경찰은 올해 1월 캄보디아에서 귀국한 남성으로부터 "중국인 8명 정도 아래에서 일본인이 전화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으며, 캄보디아 현지 당국이 일본인 29명을 체포한 뒤 일본 측에 인도했다.
일본 언론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범죄에 가담했다가 구금되었던 한국인 64명이 송환된 것을 계기로 동남아시아에서 벌어지는 범죄 사례들을 조명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국인 학생이 캄보디아 사기 조직에 납치·살해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중국인 범죄 조직의 거점이 확산하는 동남아시아가 다시 특수 사기 문제로 불안정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또한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구인 정보에 속아 감금 상태에 놓이고, 일본인이 피해를 보는 사례도 적지 않다"며 "하루 12시간 이상 전화와 소셜미디어(SNS)로 사기를 강요하고 기준을 채우지 못하면 폭력을 가했다는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사히신문 역시 "한국 젊은이들이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권유를 받고 캄보디아에 갔다가 사기 조직에 감금되는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하며 한국 사회 내 확산되는 충격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