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신규 지명 후보지 위치.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와 국토지리정보원은 19일 남극 과학연구 지역의 주요 지형지물에 우리말 지명을 제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대한민국의 남극 연구 지역 확장에 따라 체계적인 연구와 국제적 위상 강화를 위해 추진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남극 장보고 기지와 K-루트(내륙기지 후보 지역 포함) 주변 16개 지형지물에 우리말 지명을 부여하고, 이를 남극 지명 사전에 등재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국토부는 “대한민국의 남극 연구 활동이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지형지물에 고유한 우리말 지명을 부여해 연구의 체계성을 높이고 국제적 공신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20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2주간 ‘남극 지명 우리말 공모전’을 열어 국민이 온라인 투표로 지명 의견을 제안할 수 있도록 했다.

공모 대상은 장보고 기지 앞마당, 앞 곶(바다 쪽으로 뾰족하게 뻗은 육지), 빙저호, 브라우닝 산 근처 봉우리 등 4곳이며, 총 16개 지명 중 나머지는 전문가 자문과 관계 기관 검토를 통해 확정된다.

남극 신규 지명 후보지 위치.사진=연합뉴스

공모전은 국민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우수 지명 선정 시 국토지리정보원장상 등을 시상하며, 대상 수상작은 국가지명위원회 심의를 거쳐 공식 지명으로 확정되고 지명 인증서도 수여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공모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 관계 기관 검토, 공청회 등을 진행해 최종 16개 지명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는 2011년과 2012년에 세종과학기지 주변 백두봉, 미리내빙하 등 27곳의 우리말 지명이 남극 지명 사전에 등재된 이후 두 번째 대규모 지명 제정 작업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우리말 지명 제정은 남극 연구의 체계적 관리와 글로벌 위상 강화를 위한 중요한 단계”라며 “국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반영된 지명이 국제 무대에서 한국의 극지 연구를 대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작업이 한국의 극지 연구 역량을 알리고, 남극 지명 사전 등재를 통해 국제적 인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