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통선 내 임진강
경기 연천군 임진강 상류 민간인통제선 지역.사진=연합뉴스

북한이 남북 공유 하천인 임진강 상류의 황강댐에서 물을 재차 방류한 것으로 보인다고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당국이 19일 밝혔다.

이번 방류는 북측이 사전에 어떠한 통보도 없이 이루어져 하류 지역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황강댐 방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위성영상으로 접경지역을 감시하던 중, 이날 오후 3시께 북한이 황강댐에서 물을 방류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측은 지난 10일부터 비가 계속 내리고 17일부터 18일까지 강우가 이어진 것에 따라, 홍수 조절 용량 확보를 위해 황강댐을 비운 것으로 추정된다.

한강홍수통제소에 따르면, 남측 임진강 최북단에 위치한 연천군 필승교의 수위는 이날 오전 7시 전후로 하천 행락객 대피 기준인 1미터(m)를 넘어섰다.

북측은 이번에도 방류 계획을 사전에 알리지 않았다. 이는 지난 2009년 9월 북한이 사전 통보 없이 황강댐에서 물을 방류하면서 임진강 하류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한 이후, 같은 해 10월 남북 간에 황강댐 방류 시 사전에 통보하기로 합의했던 약속을 위반한 것이다.

북측은 2013년을 마지막으로 이 합의를 준수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임진강 유역을 필승교 수위에 따라 4단계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필승교 수위가 1미터(m)를 넘어서면 하천 행락객 대피, 2미터(m)는 비홍수기 인명 대피, 7.5미터(m)는 접경지역 위기 대응 관심 단계, 12미터(m)는 접경지역 위기 대응 주의 단계가 각각 발령된다.

이승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이달 12일 황강댐 방류 징후를 포착한 후 북측이 황강댐 수문 개폐를 반복하고 있는 만큼, 하류에 피해가 없도록 필승교 수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과 함께 철저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