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치매예방 앱 '브레인핏'.사진=서울시/연합뉴스

지난 10년간 치매에 대한 서울시민의 전반적인 관심과 지식 등 이해도가 대폭 높아진 것으로 19일 조사됐다.

서울시는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 1천7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서울시민의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인식도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에는 일반시민 865명(80.8%)과 서울시광역치매센터의 치매이해교육을 이수한 '기억친구 리더' 206명(19.2%)이 참여했다.

이번 조사에서 '치매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응답은 76.6퍼센트(%)로, 2015년 조사 대비 29.4퍼센트(%)포인트 증가했다.

'치매 정보를 접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79.0퍼센트(%)로 같은 기간 12.9퍼센트(%)포인트 늘었으며, '치매 관련 정보를 얻고 싶다'는 응답은 84.6퍼센트(%)로 10년 전보다 무려 41.4퍼센트(%)포인트 상승했다.

시민들이 가장 얻고 싶어 하는 정보는 치매 예방(83.2퍼센트(%)), 치매의 의학적 이해(64.9퍼센트(%)), 치매가족 지원(63.4퍼센트(%)) 순으로 나타났다.

치매 예방과 증상 등과 관련해 오엑스(OX) 문제로 답하는 질문에서는 평균 정답률 81.6퍼센트(%)를 기록하여 2015년보다 10.6퍼센트(%)포인트 높아졌다.

'치매 친화적 태도' 분야 점수는 평균 59.6점을 기록했다.

세부 영역별로는 '치매 지식'이 68.1점으로 가장 높았고, '치매 낙인·차별' 60.6점, '치매 안정(치매 환자와 함께 있을 때)' 50.1점 순이었다.

조사 대상별로 보면, '기억친구 리더'가 일반시민보다 치매 인식도와 친화적 태도 항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서울시와 서울시광역치매센터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예방법을 시민에게 알리고, 치매시민을 도와주는 '기억친구' 참여자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서울시는 중장년기부터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브레인핏 45'를 손목닥터9988과 연계하여 지난달 정식으로 출시했다.

이 앱은 만 45세 이상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치매 위험도 자가 점검, 뇌 건강을 위한 맞춤형 처방, 하루 5분 치매 예방 및 건강 정보형 퀴즈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가입자는 2만1천880명으로, 연령대별로는 45세에서 59세가 1만3천804명, 60세 이상이 8천76명을 차지했다.

이경희 서울시 정신건강과장은 "서울에 거주하는 약 16만명의 치매 환자가 이웃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안정적인 돌봄과 인식 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