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 과다 의존 (PG).사진=연합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3일 초중고생 학부모 92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학부모 10명 중 4명이 자녀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사용 지도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디지털 페어런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리서치 전문업체 에스티아이(STI, STi Research Inc.)가 지난 9월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했다.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 결과, 자녀의 디지털 기기 사용 지도가 스트레스라고 답한 학부모는 40.5퍼센트(%)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가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은 22.8퍼센트(%)에 그쳤다.

또한, 디지털 기기 사용 지도가 벅차다고 느낀 학부모는 34.6퍼센트(%)였으며, 벅차지 않다고 답한 이들은 30.3퍼센트(%)였다.

특히, 자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사용에 대해 어떻게 개입해야 할지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39.9퍼센트(%)에 달했다.

학부모 다수는 디지털 페어런팅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88.2퍼센트(%)가 부모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페어런팅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자녀의 디지털 기기 사용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부모는 79.5퍼센트(%)인 반면, 실제로 이를 실천하는 비율은 61.6퍼센트(%)로 낮았다.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디지털 페어런팅 실천 비율은 부모의 학력과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농어촌이나 중소도시보다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이에 대해 “디지털 양육 환경의 질적 차이가 지역과 계층 간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부모 대상 디지털 페어런팅 교육은 지역과 계층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교육 당국은 디지털 페어런팅 지원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