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 보고하는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사진=연합뉴스


해군은 23일 충남 계룡시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3만톤급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MuM-T Carrier)을 2030년대 후반까지 확보하는 계획을 보고했다.

이 전력모함은 유인기 중심의 기존 경항공모함을 대체해 유·무인 전력을 통합 지휘하는 해양 기반 전투체계의 핵심 역할을 맡는다.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전투용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감시정찰·공격용 UAV, 자폭용 UAV를 탑재해 감시정찰과 타격 능력을 강화한다.

해군은 이를 통해 아군 전력의 생존성과 공격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약 3만톤급인 이 전력모함은 해병대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를 탑재하며, 독도급 대형수송함과 유사한 침수 갑판을 통해 정찰·기뢰전용 무인수상정과 고속상륙정을 운용할 수 있다.

해군은 이 전력모함을 독도함, 마라도함과 함께 3개 기동부대 지휘함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해군 관계자는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광해역에서 분산된 유·무인 전력을 실시간 네트워크로 통합·지휘하며,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한국형 킬웹의 핵심전력 역할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해군은 실시간 탐지·결심·타격이 가능한 AI·네트워크 중심 킬웹 구축과 함정 승조원 순환근무제 도입을 통해 근무 여건을 개선할 방침이다.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은 “미래 전장을 주도하고 승리하기 위해 AI와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해군력을 건설하며, 안보환경에 맞는 부대구조와 작전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병대는 상륙돌격장갑차(KAAV-II, Korea Amphibious Assault Vehicle-II) 계열·모듈화, 상륙공격헬기, 고속전투주정 전력을 통해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전환을 가속화한다고 보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