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월 판문점 가건물 T2(왼쪽)와 T3 사이에 선 북미 정상.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정상회의 참석 방한을 계기로 북한 김정은과의 정상회담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 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이 한반도 평화공존과 동북아 안정화를 위한 결정적 기회라고 강조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 정 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을 다른 시기에 추진하려면 실무적으로 많은 준비와 논의가 필요해 이번보다 훨씬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72년 만에 전쟁을 종식할 수 있는 “하늘이 준 기회”라며, “성사된다면 한반도가 평화공존의 시대로 나아가고 동북아에 평화와 안정이 정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장관은 북미 양측에서 회담 가능성을 대비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측으로는 앨리슨 후커 국무부 부장관의 방한과 유엔군사령부의 판문점 특별견학 중단 결정을 들었다. 이는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사전 조치로 해석된다.

북한 측으로는 판문점 북측 시설의 미화 작업을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판문관 등 북측 시설에서 청소, 풀 뽑기, 화단 정리, 가지치기, 사진 촬영을 진행했다”며 “이러한 동향은 지난 1주일 동안 포착되었으며 2025년 들어 처음”이라고 밝혔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사진=연합뉴스


정 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은 북한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인민생활 향상을 위한 평화와 안정의 전제 조건을 충족한다”며 “김정은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결단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그는 미국이 판문점 북측 시설에서 만나는 데 부담을 느낄 경우, 군사분계선 내 유엔사 소관 가건물 T2(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Conference Room)를 대안 장소로 제안했다.

T2는 중립적 위치로, 북미 정상회담의 상징적 공간으로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북미 판문점 회동 기대감이 약화되었다는 관측에 대해 정 장관은 “상황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며 “1퍼센트(%)의 가능성이라도 절박하게 붙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북미 간 실무 접촉이 진행 중이지만, 회담 성사는 김정은의 최종 결정에 달려 있음을 나타낸다.

북한이 '통일관'으로 개칭한 옛 모습통일각.사진=연합뉴스


정 장관은 간담회에서 ‘평화적 두 국가’ 주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민족 내부 특수관계 속에서 평화적 두 국가를 의미한다”며 “1991년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으로 국제사회에서 이미 두 국가로 인정된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1400년 전 원효대사의 ‘불일부이(不一不二)’ 사상처럼 한반도는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닌 모습”이라며, 이 주장이 민족공동체 통일방안과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평화적이란 단어를 뺀 두 국가론이라며 ‘위헌적’이라는 비판은 오해하기로 작심하고 어거지를 쓰는 것”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