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내 '시진핑 기증도서 자료실' 입구.사진=서울대학교
대한민국 최고 지성의 요람이라 자부하는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자리한 '시진핑 자료실'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자료실의 존폐는 단순한 시설 관리 문제를 넘어, 과연 학문의 전당 서울대가 자유 민주주의의 가치를 수호하며 외부의 정치적 침투에 단호히 맞설 의지가 있는지를 묻는 중대한 질문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조정훈 의원이 4만 7천 명이 넘는 국민이 자료실 폐쇄를 요구하는 청원까지 제기되었음을 지적했음에도,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서울대가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는 미온적 태도로 일관했다. 유 총장 스스로도 "정치적인 선전 선동 우려가 상당하다"고 인정한 것은, 이 자료실이 이미 학문의 중립성을 훼손하고 중국 공산당의 노골적인 '샤프 파워' 침투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국민적 우려가 단순한 기우가 아님을 시인하는 대목이다. 대중의 정당한 비판과 국회의 질타에도 불구하고 책임 회피로 비칠 수 있는 서울대의 태도는, 학문의 전당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스스로 훼손하는 길을 걷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서울대학교가 기증받은 자료실의 장서 목록에는 '중국 거버넌스', '중국 공산당 90년사', '특색 있는 사회주의' 등 중국 공산당 체제와 이념을 미화하고 선전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는 지난 2014년 시진핑 주석의 방한 강연을 계기로 자료를 기증받았다는 배경 설명을 넘어, 중국 공산당이 학술 교류라는 명목하에 자유 민주주의 진영의 심장부에 사상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교묘한 전략적 의도가 숨어있음을 방증한다. 국민의힘 서지영 의원의 지적처럼 특별관리 도서 11종이 지난 10년간 10회 미만으로 대출되었다면, 연구 자료로서의 실질적인 효용성마저 극히 낮음이 명백하다. 이처럼 활용도조차 낮은 시설을 유지하며 특정 국가의 체제 선전 자료를 비치하는 것이 과연 학문의 자유와 중립성을 수호해야 할 최고 국립대학의 역할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우리 사회의 지성인들이 이를 묵묵히 지켜보는 것이 정당한 일인지 심각하게 자문해야 한다. 중국 공산당의 패권주의적 사상이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핵심 가치인 '학문의 자유'를 잠식하려는 시도를 최고 지성들이 모인 서울대가 방조한다면, 이는 지성인의 책무를 망각하는 행위라는 날카로운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서울대는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의 최후 보루로서 공산주의 이념 침투에 단호히 맞서야 할 책무를 부여받았다. 특정 정치 세력의 영향력 아래 놓여 정쟁의 도구로 활용되거나, 외부 세력의 선전·선동 장소로 전락하는 것을 용인해서는 안 된다. 서울대는 중국과의 학문 교류가 시진핑 자료실 존폐 여부에 달려있지 않음을 명심하고, 오히려 공정하고 당당한 한중 관계를 위한 학문적 자존심을 지켜야 한다. 유홍림 총장은 '관계 정부와의 논의'라는 모호한 변명 뒤에 숨지 말고, 시대적 요구와 국민적 우려에 귀 기울여 시진핑 자료실 폐쇄 등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이를 통해 서울대가 진정한 학문의 전당이자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최후의 보루임을 증명해야 할 것이다. 만약 서울대가 이러한 책무를 다하지 못한다면, 국민은 더 이상 서울대를 대한민국 최고의 지성으로 인정하기 어려울 것이며, '더프리덤타임즈'는 서울대가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수호하는 본연의 모습을 되찾을 때까지 그 책임을 엄중히 물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