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정상회담 종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내 나래마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회담장을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미중 관계 정상화를 위한 실질적 대화를 나눴다.

중국 전문가들은 이번 회담을 양국 관계의 긍정적 전환점으로 평가하며, 정상외교의 전략적 역할을 강조했다. 푸단대학 국제정치학과 선이(瀋逸) 교수는 관찰자망 기고문을 통해 이번 회담의 전체적 성격을 상당히 긍정적이고 고무적인 것으로 분석했다.

선이 교수는 "정상외교가 양국 관계의 중요한 시점에서 전략적 지도 역할을 계속 발휘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담은 1시간 40분 동안 진행됐다.

선이 교수는 회담 시간과 양측 입장 표명, 기존 정보 등을 종합해 "오랜만에 보는 건강한 광경"이라고 표현했다.

특히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태도를 이전 다른 국가 지도자와의 만남과 비교하며, 미중 정상외교가 시각적·직관적으로 정상 궤도로 돌아갈 조짐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현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후 시진핑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귓속말을 나누는 모습이 포착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국가주석을 먼저 차에 태우는 배려도 보였다.

선이 교수는 이러한 행동을 들어 "양측 분위기가 상당히 좋고 매우 긍정적이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장면은 미중 양국이 정상외교를 통해 각 분야 대화를 총괄하고 관계가 정상 궤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선이 교수는 덧붙였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모두발언에서 "중국의 발전과 부흥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구하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목표와 상충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선이 교수는 이 부분을 주목하며,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사고방식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상호 성체와 공동 번영' 표현은 창조적인 시각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중국은 자국의 실력과 실천 경험, 객관적 정세를 바탕으로 양국 관계가 반드시 '제로섬 게임'에 빠질 필요가 없다는 점을 과시했다고 선이 교수는 해석했다.

미중 정상회담 종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내 나래마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회담장을 나서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관영 중국중앙(CC)TV는 회담 직후 "정상외교가 중미 관계에서 대체할 수 없는 전략적 지도 역할을 한다"고 보도했다.

CCTV는 "이번 회담 현장에서 '대국 외교의 최전선'이라는 표현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중미 양국은 동반자이자 친구가 돼야 하며, 이는 역사적 교훈이자 현실적 필요"라고 강조했다.

관영 신화통신을 포함한 중국 매체들은 회담 시작부터 종료까지 실시간 보도를 펼쳤다.

상무부가 발표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미중 고위급 회담 합의 내용도 주목받았다.

미국 측은 이른바 '펜타닐 관세'를 10퍼센트(%)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또 미국은 홍콩과 마카오를 포함한 중국산 상품에 대한 상호관세 24퍼센트(%) 부과를 1년간 추가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측은 이러한 내용을 "긍정적 성과"로 부각했다. 바이두 등 포털과 웨이보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도 미중 정상회담 관련어가 상위 검색어를 장악했다.

'시진핑-트럼프 정상회담 내용 발표', '미국, 대중 24퍼센트(%) 관세 부과 1년 유예', '회담 후 트럼프가 시진핑을 차에 태워 보내다' 등이 인기 검색어로 떠올랐다.

이번 부산 정상회담은 미중 관계의 안정적 관리와 협력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