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핵무기 시험 재개를 지시하자 러시아가 누구든 핵시험을 재개하면 러시아도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3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페스코프 대변인은 "누군가 핵시험 유예를 어기면 러시아는 그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우리는 누군가 시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다른 국가들의 시험 프로그램을 이유로 국방부에 핵무기 시험 개시를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페스코프 대변인은 "부레베스트니크 실험을 언급한 것이라면 그것은 절대 핵실험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푸틴 대통령이 최근 신형 핵추진 대륙간 순항 미사일 부레베스트니크와 핵추진 수중 드론 포세이돈 시험 성공을 발표한 데 대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부레베스트니크와 포세이돈 시험에 대한 정보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확히 전달됐기를 바란다"며 "이 시험들은 핵시험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소련 시절인 1990년 마지막 핵무기 시험을 실시한 이후 유예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1992년, 중국은 1996년을 끝으로 핵시험을 중단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현재 핵시험 유예 조치가 유효하다"고 확인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미국이 주권 국가로서 결정을 내릴 권리가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러시아에 사전 통보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운 군비 경쟁이 촉발됐다는 평가에 대해 "아니다"라고 답했다.
러시아와 미국 간 대화가 막다른 길에 이르렀다는 관측에도 동의하지 않았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내년 2월 만료되는 신전략무기감축조약(뉴스타트, New START)을 1년간 자체 연장하자는 푸틴 대통령의 제안에 미국이 실질적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뉴스타트 연장과 핵시험은 약간 다른 주제"라며 양국 간 핵 군축 관련 전문가 협상이 현재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