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게 물든 닛케이지수 현황판.
지난달 31일 도쿄에서 남성이 닛케이지수 현황판을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이하 닛케이지수)가 지난 10월 한 달간 지수 상승 폭에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일 보도했다.
이는 통화 완화와 적극적인 재정 확장 정책을 지지하는 다카이치 사나에(Takaichi Sanae) 총리의 집권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닛케이지수는 지난 10월 말 5만2천411로 장을 마감하며 9월 말 대비 7천4백7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역대 월간 지수 상승 폭 가운데 최대 기록이다.
한 달간 상승률은 16.6퍼센트(%)로, 1976년 이후 월간 상승률로는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다.
역대 최고 상승률은 1990년 10월의 약 20퍼센트(%)이다.
이와 같은 주가 상승의 배경에는 통화 완화 정책으로 상징되는 '아베노믹스'를 지지하며 적극적인 재정 확장 정책을 주장해온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집권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는 지난 10월 4일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했으며, 일본에서는 집권당인 자민당 총재가 사실상 총리 취임을 보장하는 자리다.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는 취임 후 첫 국회 소신 표명 연설에서도 '강한 경제'를 내세우며 국내총생산(지디피, GDP) 대비 2퍼센트(%)의 방위비 예산 목표 달성 시점을 2년 앞당겨 실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닛케이는 "정책 기대감에 가장 크게 반응한 것은 해외 투자자들이었다"며 "10월 첫째 주부터 4주간 외국인 투자자는 3조엔(약 27조3백81억 원) 넘게 주식을 순매수했다"고 전했다.
지난 10월 닛케이지수는 주요 20개국(지투웬티, G20) 대표 지수 중 아르헨티나(58퍼센트, %)와 한국(20퍼센트, %)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그러나 주가 상승이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적극 재정 방침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라면, 동시에 엔화 가치 하락은 반대로 우려를 낳는 현상이다.
가탸야마 사쓰키(Katayama Satsuki) 재무상은 지난 10월 31일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환율 시장의 과도한 변동과 무질서한 움직임에 대해 높은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엔/달러 환율이 같은 날 한때 달러당 154엔대 중반까지 치솟으며 엔화 가치가 지난 2월 이후 약 8개월 만의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자 시장을 견제하기 위한 구두 개입성 발언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