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22일 토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대한의 근일 정형 번역 연속(4))

대한에 근일 쓰는 화폐를 말할진대 통히 혼돈세계라. 외국 사람이 처음 보면 기가 막혀 할 말이 없을지라. 경향(편집자 해석: 서울(京)과 지방(鄕)을 아울러 이르는 말)에 통용한다는 돈이 일본 돈과 대한 돈을 섞어 쓰나니, 이것도 정신없는 일이라 하려니와, 소위 조선 돈이라는 것은 동을 섞어 넓게 만들고 가운데 모진 구멍을 내어 끈에 끼게 만들어 이를 일러 엽전(葉錢)이라 하는데, 한 개를 서울서는 한 푼(조선 후기 및 대한제국 시기의 화폐 단위로, 1푼은 1전의 1/5현대 가치 추정 약 10~20원)이오, 시골서는 오 푼(현대 가치 추정 약 50~100원)이라 하며, 실상 쓰는 데는 읍촌 물론하고 같이 상환하며, 그보다 좀 더 두터운 돈은 또한 동으로 만들어 시골 돈 오 푼이오, 서울 돈 스물다섯 닢(현대 가치 추정 500~1천250원)이라 하며, 그 다음은 좀 더 적은 백통전이 있으니, 시골서는 스물다섯 닢(엽전 한 개를 가리키는 단위로, 화폐의 개수 단위, 25닢은 현대 가치 추정 약 500원~1천250원)이오, 서울서는 이백이십오 푼(현대 가치 추정 약 2천250~4천5백원)이라. 통히 헤아리기를 매 량(兩, 편집자 해석: 원래는 무게 단위(약 37.5g)였으나, 조선 후기에는 화폐 단위로도 사용, 1량 = 100푼이며, 당시에는 1량이 약 1천~2천원 정도의 구매력을 가졌음)으로 회계하는데, 한 량이 일백 푼(현대 가치 추정 약 1천~2천원)이라 하며, 오전 외에는 조선 돈이 없는데, 물건 매매하는 중수(重數, 편집자 해석: 무게나 수량)를 볼진대 조선 돈 일백 푼어치 물화를 금전(金錢) 삼십칠 전(현대 가치 추정 약 370~740원)이면 상환할지라. 돈이 이렇듯 일정한 규모가 없어 정신을 차릴 수 없으며,

일본 돈이라고 통행하는 것이 또한 여러 가진데 금전이라고는 볼 수 없고, 지전(紙錢)이라고는 수십 원짜리까지 통행하나 시골 사람들은 당초에 받지 아니하며 말하기를, 종이가 무슨 돈이라 하느냐 하는지라.

부득이 내왕(內往,, 편집자 해석: 왕래하다, 오고 감)하는 노자(路資, 편집자 해석: 여행 경비,길에 드는 비용)를 엽전으로 바꾸어 가지고 다녀야 하나니, 노자가 거의 나귀에 한 바리(편집자 해석: 짐을 한 짐 지는 단위로 짐 한 짐 또는 나귀가 실을 수 있는 양)가 되니 먼 길을 다닐 수 없는지라. 급기야 평양에 이른즉 지전을 구하기가 도리어 어려워 매 원(편집자 해석: 1원=100전 현대 가치 추정하면 약 2천~4천원)에 이십 전씩을 가계에 주고, 재물포나 서울에서는 곳곳이 달라 구십칠 전(현대 가치 추정 9천700원~1만9천4백원)까지 바꾸었으며, 기타 정신 차리기 어려운 일은 물론이고, 통히 돈이 어찌 귀하든지 여러 백 리 내왕에 합이 노자가 몇 푼이 되지 못한지라. 내 생전에 겨를이 있거든 조선에 가서 쓰고 온 돈을 다 합하여 볼 터이니, 전후에 몇 푼이 들었는지 보면 참 가소로울러라.(마지막 문장 편집자 해석: 내가 살아 있는 동안 시간이 나면 조선에 가서 그동안 쓴 돈을 다 합산해 볼 텐데, 앞뒤로 쓴 돈이 얼마 되지도 않으니 참 우습고 하찮게 느껴진다.)

거처하는 집을 볼진대 빈한 곤궁함이 겉에 드러나는지라. 그 중 장하다는 대궐과 관사를 보면, 청국 제도를 모본하여 그 인민의 안목에는 가장 웅장하게 여기나, 외국인에 보기에는 심히 옹졸하여, 미국과 비교할진대 그 임금 계신 대궐이 미국 촌에 사는 상민(商民, 편집자 해석: 상업에 종사하는 평민)의 집만 못하여, 상민의 좌우 마구간 벌린 것을 보면 한 고을 관찰부 영문(營門, 편집자 해석: 관청이나 군영의 정문 또는 관찰사의 관청)보다 낫다 할지라.

그 집들이 다 짓기에만 옹졸할 뿐 아니라, 한번 지은 후 몇 대를 전혀 수보(修補, 편집자 해석: 고치고 보수함)할 줄 몰라 모두 파상(편집자 해석: 깨지고 부서짐)한 벽과 마당이 도처에 보이며, 여염가(閭閻家, 편집자 해석: 일반 백성의 집)는 흔히 거칠게 지어 전혀 기동(機動, 편집자 해석: 구조를 지탱하는 뼈대)으로 힘을 쓰며, 기동인즉 곧은 나무가 귀한 고로 흔히 굽은 나무로 버티고 안에 수숫대를 집 새끼로 엮어 세우고, 진흙을 발라 벽을 쌓아 겨우 풍우를 가리며, 집 위는 성중에 극히 상등집이 진흙으로 구운 기와로 덮고 기타는 다 볏집으로 엮어 두터이 이었고, 문과 창은 사람 출입하기 위하여 한두군데 외에는 공기를 통하기 위하여 내는 창은 드물며, 소위 창에는 두터운 종이를 발라 햇발이 들면 겨우 어두운 빛이 나고, 방바닥은 흙인데, 혹 기름 묻은 종이로 바르기도 하고, 혹 짚으로 엮은 자리도 펴며, 매간 바닥 밑에는 고래(*방고래의 준말: 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는,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길. 갱동)를 놓아 부엌에서 음식 익히는 불길에 연기가 통하게 하며, 잘 때 침상(寢狀, 편집자 해석: 잠자는 침대)은 아주 없고 다만 방바닥에 누워 자므로 유람하는 자 혹 불행이 길 침상을 아니가지고 떠날진대, 불가불 토민들과 같이 방바닥에 누워서 무수히 모여드는 물짐승(편집자 해석: 해충, 벌레)과 싸워서 밤을 지낼러라. (미완)

(다음 호는 11월6일 제268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