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미 국방장관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전쟁부) 장관과 면담 전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4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을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접견하고, 한미동맹의 핵심 과제인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의 임기 내 조기 회복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는 "전작권 조기 회복은 한미동맹이 한 단계 더 심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강유정 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는 한국군의 역량 강화를 통해 한반도 방위를 한국이 주도하게 되면, 인도·태평양(인태) 지역에서 미국의 방위 부담도 경감될 것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 건조 지원 결정에 깊은 사의를 표하며, 원잠 확보는 한반도 방위 주도를 위한 한국군의 역량을 크게 향상시키고 한미동맹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피트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의 국방비 증액과 최첨단 재래식 전력 및 원잠 확보 노력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헤그세스 장관은는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한국은 가장 모범적인 동맹"이라고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 미 국방장관 접견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전쟁부) 장관과 면담 전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존 노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 리키 부리아 장관 선임보좌관, 제이비어 브런슨 한미연합군사령관, 사무엘 파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 존 대니얼 케인 합참의장,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 대리, 피트 헤그세스 장관, 이재명 대통령, 안규백 국방부 장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진영승 합참의장, 김성민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김현종 안보1차장, 곽태신 국방비서관.사진=연합뉴스


더불어 헤그세스 장관은 세계적인 수준의 조선 능력을 보유한 한국과의 조선 협력을 강화하여 선박을 공동 생산하는 방안에 대한 기대를 표명했다.

그는 이러한 협력 관계가 한미 양국의 국방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접견에는 미국 측에서 케빈 김 주한대사대리, 존 대니얼 케인 합참의장, 사무엘 파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 제이비어 브런슨 한미연합군사령관, 존 노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 등이 배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진영승 합참의장, 김성민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그리고 대통령실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김현종 안보1차장 및 곽태신 국방비서관 등이 함께 자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