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신형 '화성-20형' 추정 미사일
북한이 지난 4일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선보였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화성-20형' 이라는 분석이 12일 제기됐다.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5일 공개한 전시회 사진을 보면 신형 ICBM '화성-20형' 추정 미사일과 이동식발사대가 전시되어 있다.사진=연합뉴스

국정원은 북한군 건설부대 5천여명이 9월부터 러시아로 순차 이동 중이며 인프라 복구에 동원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4일 서울 국정원 청사에서 비공개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과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해당 사실을 공개했다.

국정원은 현재 북한 파병군 1만여명이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부근에 전진 배치돼 경비 임무를 수행 중이라고 전했다.

추가로 파병된 공병 1천여명은 지뢰 제거 작업에 투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 내부에서는 추가 파병을 대비한 훈련과 인원 차출 동향이 지속적으로 포착되고 있어 국정원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북한의 핵탄두 탑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개발도 진전됐다.

국정원은 열병식에 등장한 고체 연료 ICBM 화성-20형이 화성-19형 대비 동체를 경량화하고 추진체 성능을 개량한 것으로 분석했다.

탄두부 공간 확대에 따라 다탄두 탑재나 탄두 무게 증가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단거리 미사일은 러시아의 기술 지원으로 유도 성능과 정밀도가 개선되고 있다.

무인기 사업도 빠른 속도로 발전해 안보 위협이 커질 수 있다고 국정원은 우려했다.

다만 극초음속 미사일, 군사정찰위성, 구축함은 실제 성능 구현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된다.

핵잠수함과 장거리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등 수중 무기체계 개발도 진척이 더딘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