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내 일부 의원들은 북한 김영남(전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대북 조문단 파견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제기하며 정부 차원의 논의를 촉구했다.

박지원 의원은 4일 페이스북을 통해 조의를 표명하며 조문 사절로 평양 방문을 자청했다.

윤건영 의원도 페이스북에 조문단 파견을 검토할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박지원 의원은 김영남 사망 소식에 유족과 북한 주민들에게 위로를 전하며 "여건이 허락한다면 제가 조문 사절로 평양을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에서 만난 정동영 통일부 장관에게 이 뜻을 전달했으며, 오후 국가정보원 국정감사에서 국정원장에게도 공식 요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박 의원은 김영남과의 인연을 회고하며 "훤칠한 키에 미남으로 조용한 외교관 출신이며 저와 10여 차례 만났다"고 소개했다.

김정일과 김정은이 김영남을 깍듯이 모시던 기억을 새롭게 떠올리며 김영남의 위상을 강조했다. 이어 과거 사례를 들어 조문의 의미를 부여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북한에서 김기남 비서 등 조문 사절단이 왔으며, 김정일 조문 사절로 고 이희호 여사가 다녀온 바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북한도 특사를 받아들이고 우리 정부도 박지원을 특사로 보내시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박지원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으로 2000년 문화관광부 장관 재임 중 김 전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북측과 접촉해 6·15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막후 역할을 했다.

2014년 DJ 서거 5주기 때 북한 화환 수령을 위해 방북했으며, 같은 해 김정일 3주기 때 이희호 여사 명의 조화를 북측에 전달한 바 있다.

윤건영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사람 사이 관계에서 경조사는 관계의 미래 방향을 바꾸는 분기점이 되곤 한다"며 "남과 북도 마찬가지로 아무리 서운하고 소원해도 조사는 챙기는 것이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이라고 적었다.

그는 현재 남북이 대화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김영남 부고에 제대로 된 조의를 표할 때라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한반도 평화라는 희망의 불씨를 되살리기 위해 조문단 파견을 검토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윤건영 의원은 정부가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민간 차원의 조문단 구성도 가능하다며 적극 검토를 제안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출신으로 남북 관계 개선 과정에 관여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내 이러한 목소리는 김영남 사망(3일 암성중독에 의한 다장기부전으로 97세 별세)이 남북 관계 재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반영한다.

정부는 이미 정동영 장관 명의 조의문을 발표했으나 조문단 파견 여부는 남북 통신선 단절 상황을 고려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