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사진=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북한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 피해자들의 귀국을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4일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북한 김정은과의 회담을 희망한다는 뜻을 북한 측에 전달한 경로와 관련하여 “사안의 성격상 자세한 내용에 대한 답변은 삼가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기하라 관방장관은 납북자의 하루라도 빠른 귀국 실현을 위해 모든 수단을 다해 임할 것을 강조했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3일 도쿄에서 열린 국민 대집회에서 일본인 납북 피해자들의 조기 귀국을 실현하기 위한 “돌파구를 열 것”이라며 “이미 북측에는 정상회담을 하고 싶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하여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10월 21일 취임한 직후 북한 측에 정상회담 개최를 요청했으며, 이에 대한 북한의 답변은 아직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자국민 17명이 북한으로 납치되었으며, 2002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의 방북 이후 일시적으로 귀국한 5명을 제외한 12명이 북한에 남아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이 12명 중 8명은 사망했고 4명은 아예 북한에 오지 않았다며 해결해야 할 문제가 없다고 맞서고 있다.

이러한 입장 차이를 두고 일본 정부는 내각이 바뀔 때마다 납북자 문제 해결을 중요 과제로 제시해왔다.

하지만 북일 간 정상회담은 2004년 고이즈미 당시 총리의 2차 방북 이후 성사되지 못하고 있다.

교도통신은 북일 회담 실현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평가하며,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이 지난해 3월 담화를 통해 “일본 측과의 그 어떤 접촉도, 교섭도 외면하고 거부할 것”이라고 언급한 이후 교착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고 해설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10월 30일 다카이치 총리에 대해 “우익 보수층을 대변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일본 정계의 우경화 방향은 절대로 달라지지 않을 것이며 더욱 위험천만한 길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