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지방선거기획단-광역단체장 연석회의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나경원 지방선거총괄기획단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 광역자치단체장들이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지방선거총괄기획단-시도 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은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선에서 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기존 50퍼센트(%)에서 70퍼센트(%)로 상향 조정하고 청년·여성 신인 영입 확대를 위한 가산점 제도를 개편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권리당원 권한 강화 움직임에 대응해 당세 확장과 인재 발굴에 초점을 맞춘 조치로 평가된다.
국민의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은 21일 국회에서 제4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최고위원회의에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조지연 의원이 브리핑을 통해 전한 바에 따르면 경선 룰은 현행 ‘당원 선거인단 투표 50퍼센트(%)·여론조사 50퍼센트(%)’에서 ‘당원투표 70퍼센트(%)·여론조사 30퍼센트(%)’로 변경된다.
나경원 위원장은 “당세 확장을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고 밝혔다.기획단은 청년·여성 신인 등용 확대를 위해 득표율에 비례 가산점을 부여하던 기존 방식을 폐지하고 ‘정량적 가산점’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만 34세 이하 청년 신인은 본인 득표에 20퍼센트(%)포인트(p), 만 35세 이상 44세 이하 청년 신인은 15퍼센트(%)포인트(p)를 더 받는다. 만 45세 이상 여성 신인에게는 기본 10퍼센트(%)포인트(p) 가산점이 부여된다.
청년 인재 발굴을 위해 광역 의회 비례대표 후보 추천은 중앙당 청년인재 대국민 오디션을 통해 선발하며, 17개 시·도 광역의회 비례대표 후보 중 최우선 당선권에는 오디션 우승 청년을 배치한다.
기획단은 공직 부적격·실격 기준으로 ‘4대 항목’과 지침을 신설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정부·여당 문제 제기에 활용한 기준을 차용한 것으로, 부정부패·삼권분립과 법치 파괴·몰상식한 막말로 인한 국민 혐오 유발 행위, 직장 내 갑질·유관기관 경조사비 불법 수금 등 뇌물수수형 모금(슈퍼 갑질), 주식·부동산 불법 차명 거래·불법 대출·내부 정보 이용 주식 거래, 배우자·자녀 입학·채용 비리 등 ‘인면수심 행위’를 포함한다.
조 의원은 “이 기준으로 공천을 엄격히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기획단은 애당심과 당 발전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당 기여도’와 ‘당원 모집’ 최소 기준을 설정하고, 공직선거 출마 준비 및 조직 발전 공헌도를 종합 반영한다.
예비 공직 후보자 자격시험인 ‘공직후보자 기초자격 평가(PPAT, Public Political Aptitude Test)’는 광역·기초의원 출마자뿐 아니라 기초단체장 출마자도 응시하도록 확대했다.
후보자·공직·정책 역량 평가와 관련 교육 이수 및 시험을 의무화한다.
한편 기획단은 최근 시·도지사와의 연석회의에 이어 25일 국민의힘 소속 기초단체장을 초청해 지방선거 관련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