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23일 경기 침체와 내년도 공적개발원조(ODA) 예산 14퍼센트(%) 삭감이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글로벌펀드(세계에이즈결핵말라리아퇴치기금, The 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에 기존과 동일한 1억 달러(약 1천470억 원)를 오는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이 결단으로 한국은 글로벌펀드 설립 초기인 2006년 이후 처음으로 투표권을 가진 이사국 지위를 획득하며 국제 보건 무대에서 영향력을 대폭 확대하게 됐다.
비영리단체 국제보건애드보커시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8차 재정공약 정상회의에서 한국 정부는 이 같은 공약을 공식 발표했다.
글로벌펀드 측은 한국을 강력한 의지를 유지한 공여국으로 평가하며 투표권 이사국 승격을 즉시 확인했다.
이번 모금 회의는 당초 목표 180억 달러(약 248조 원)에 113억4천만 달러(약 156조 원)만 조성되는 등 분위기가 순탄치 않았다.
일본과 프랑스 등 주요 공여국들이 경제 사정을 이유로 공약을 미루는 가운데 한국이 기존 액수를 유지한 것은 국제사회에 강한 연대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펀드가 매년 약 25억 달러(약 3조6천750억 원) 규모의 의료 물품을 구매하는 세계 최대 구매자임을 고려할 때, 한국의 투표권 이사국 진입은 국내 바이오 기업의 해외 진출에 결정적 교두보가 될 전망이다.
실제 2010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 기업이 글로벌펀드에 공급한 진단기기와 의약품은 총 8억4천900만 달러(약 1조2천480억 원)에 달하며, 이는 전체 공급국 중 6위에 해당한다.
특히 진단기기 분야에서는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장 참석한 국제보건애드보커시 한희정 대표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약속을 지킨 한국 정부의 결정은 보건 산업 기술 혁신을 국제적으로 공인받은 계기”라며 “투표권 이사국 지위가 국내 기업의 글로벌 조달 시장 접근성을 더욱 높여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펀드는 2002년 설립된 세계 최대 민관협력 기구로,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결핵, 말라리아 3대 감염병 퇴치를 목적으로 매년 약 50억 달러(약 7조3천500억 원)를 조성해 100여 개국 보건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