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2월29일 월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어두움을 버리고 밝은 데로 나오라)

연일 논설에서도 각국의 흥망 관계를 이렇듯 누누이 설명하였은 즉, 지금 세상에 처한 나라들이 다 이렇듯 위태하고 조심할 바라. 모든 흥망 안위가 다 학문을 발달하고 못하기에 달렸거늘, 통히 학문의 의론(편집자 해석: 어떤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내고 논의함, 토론)은 듣기 어렵고 점점 어둡고 사곡(邪曲, 편집자 해석: 바르지 않고 삐뚫어진 길, 그릇된 도리나 잘못된 방향)한 길로만 들어가니 어찌 화패(禍敗, 편집자 해석: 재앙과 패망, 즉 불행과 멸망)를 재촉함이 아니리오.

지금 세상에 부강 문명하다는 학문은 고사하고, 옛적 동양에 치국 평천하(治國, 平天下, 편집자 해석: 천하를 평정하고 다스림, 나라를 안정시키고 세상을 평화롭게 함) 하는 도(道)로 말할지라도, 선왕의 정치 교화가 다 대경대법(大經大法, 편집자 해석: 큰 도리와 큰 법칙,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 원칙과 법도)으로, 덕화가 행하고 풍속이 아름다워 만민이 스스로 화하여 착하고 옳은 일들을 하여 천하가 태평안락(편집자 해석: 세상이 크게 평화롭고 백성이 편안히 즐겁게 삶) 하기를 기약함 인고로, 성경현전(聖經賢典, 편집자 해석: 성인의 경전과 어진 이의 전적. 즉, 성현이 남긴 경서와 고전)에도 모든 가르친 말이 다 요사한데 빠지지말고 바른 길로 나오라 함이고, 경계한 말이 모두 권모술수(權謀術數, 편집자 해석: 권세와 꾀, 술책과 수단. 즉, 권력 다툼을 위한 계략과 술책)에 빠져 세상을 속이고 백성을 혹하게 함을 인연하여 성인의 대도(大道, 편집자 해석: 성인의 큰 도리, 올바른 길. 즉, 인의(仁義, 편집자 해석: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仁)과 옳은 도리를 따르는 마음(義)"을 합쳐서, 인간 사회를 바르게 이끄는 가장 기본적인 도덕 원칙을 의미)와 도덕에 근거한 바른 정치와 학문)가 행하여지지 못한다 함이라. 경서(편집자 해석: 유교에서 말하는 성현의 가르침을 담은 책, 유교 경전) 중에서도 이런 구절은 이루 다 빼어 기록할 수도 없거니와, 통히 교화의 본의가 이러하거늘,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선왕의 법도를 행한다고 칭하며 실상은 어찌하여 선왕의 정치를 도리어 상해(傷害, 편집자 해석: 해치고 손상시킴)하는가, 실로 깊이 개탄할 바로다.

지금 공부한다는 선비의 뜻을 보건대, 옛글을 읽어 아무리 멀고 높은 도덕과 행실이라도 힘써 행하여 볼 생각은 못하고, 얼마 읽다가는 도학(道學, 편집자 해석: 올바른 도덕과 행실을 실천하려는 학문)에 뜻을 버리고 다른 술법(術法, 편집자 해석: 기술이나 방법, 특히 도학과 달리 요사스러운 꾀나 잡학)을 배울 생각이 나서, 혹 추수법(推數法, 편집자 해석: 수(數)를 밀어 헤아린다는 말로, 길흉화복을 점치는 법, 점술·명리학)이라 길흉화복(편집자 해석: 인간의 운명에서 좋은 일과 나쁜 일, 재앙과 복)을 가린다 하여 요사한 길을 찾으므로, 처음은 정령(精靈, 편집자 해석: 영묘하고 신령스러운 존재. 귀신이나 영적 힘)히 명인(名人, 편집자 해석: 이름난 사람)이라 이인(利人, 편집자 해석: 남에게 이익을 주는 사람)이라 하는 것이 있어 앞일을 소상히 아는 법도 있고, 귀신을 부리며 땅을 줄여 천리만리를 편시에 내왕도 하며 신출귀몰한 술법도 있으며, 지리를 가리며 뫼(편집자 해석: 산(山))와 집을 지어 금시발복(편집자 해석: 지금 당장 복이 생긴다는 말)하는 도리도 있는 줄 알아, 몇 해 몇 십 년을 두고 허무한 글을 얻어 혹하여 공부하다가 필경 아무것도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아직도 믿기를, 혹 재품(才品, 편집자 해석: 재능과 인품)이 부족하여 아니 되는 줄로 알고, 혹 영구히 아무것도 아니 될 줄도 알지라도 기왕 평생을 그 길로 익었고 또한 시세도 다 어두어, 이런 것을 좋아하여 이로 큰 행세거리(편집자 해석: 세상에서 체면을 세우고 지위를 드러낼 수 있는 수단)를 삼는 고로, 자기가 먼저 제 마음을 속여 그런 법이 있는 줄로도 말하여, 이로써 세가(世家, 편집자 해석: 대대로 권세를 가진 집안)에 다니며 혹 상(像, 편집자 해석: 형상이나 모습)도 보며, 혹 길흉도 가리며, 나라에 안위를 통투히(편집자 해석: 통틀어) 아노라 하여, 이 어두운 재상 네와 간세한(편집자 해석: 간사하고 세속적인) 별입시(別入侍, 편집자 해석: 특별히 임금 곁에 들어가 시종하는 사람) 들이 먼저 혹하여 가지고 위에 누누이 상달(편집자 해석: 윗사람에게 아뢰어 올림)하여 이렇듯 입신양명(立身揚名, 편집자 해석: 몸을 세우고 이름을 드날림)하는 계제(편집자 해석: 출세하여 명성을 얻음)와 부요 호강(편집자 해석: 부유하고 호화롭게 즐기는 것)하는 수단을 만들므로, 혹 무수한 국재(國財, 편집자 해석: 나라의 재물)를 얻어 가지고 국가 안락을 위하여 명산대천(편집자 해석: 이름난 산과 큰 강)에 기도로 맡아 가며, 혹은 서관(西關, 편집자 해석: 서쪽 관문)은 자고로 민심이 강한(強悍, 편집자 해석: 강하고 사나옴)하니 그곳에 대궐을 지어 지기(地氣, 편집자 해석: 땅의 기운)를 누르자 하여 황궁을 짓는다고 국재를 불소(不少, 편집자 해석: 적지 않음)이 타 가지고, 한편으로 부민(富民, 편집자 해석: 부유한 백성)을 택하여 돈도 토색(討索, 편집자 해석: 강제로 빼앗음)하며, 혹은 어느 지방에 진기한 물건이 있어 나뭇잎 풀 같은 것이 불에 넣어도 타지도 않고, 탄알이 들지 아니하니 이로써 갑옷을 만들면 천하에 당할 군사가 없을 것이라고 하여 은근히 재물을 얼마씩 도득(盜得, 편집자 해석: 훔쳐 얻음)하는 자 많은지라.

통히 나라에 대강 정형이 이러하므로, 지금도 수구완고(守舊頑固, 편집자 해석: 옛것만 지키고 고집이 센 태도) 대신이라든지, 혹 소위 개명변(開明辯, 편집자 해석: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말로 주장함)으로 개화당(편집자 해석: 조선 말기에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고 근대화를 주장하던 정치 세력)지목 듣는 자들이든지, 다 이런 일에 혹하여 재물을 얼마씩이든지 잃어버리지 않은 자 적고, 아직까지도 이런 것에 속아서 무엇이 있는 줄로 믿는 자 또한 불소하고, 위에 관원 된 이들부터 다 이러하니, 일국에 어두운 백성이 뉘 아니 이런 것을 믿지 않으며, 어느 집에 이런 일이 없으리오.

통히 상하 관민이 하나도 내가 일을 하여 사업도 되고, 착하고 옳은 일도 하여 보자는 마음은 일호도 없고, 모두 기도와 치성(편집자 해석: 정성을 다함)으로써 복을 얻고 재앙을 막자 하므로, 전국에 통히 일하자는 사람은 없는지라.

설령 귀신이 있어 화복을 임의로 하기로서 백성은 어육 만들고 빼앗은 돈으로 귀신에게 뇌물하며 복을 빌진대, 그 귀신이 잘 흠향(편집자 해석: 제사나 제물을 귀신이나 신이 받아들여 즐긴다)하고 복을 주겠는가. 인하여 날마다 쇠하며 어두워지면서도 종시 파혹(破惑, 편집자 해석: 미혹을 깨뜨림, 잘못된 믿음이나 헛된 생각을 깨달아 버림)지 못하니, 장래에 어찌 여망(餘望, 편집자 해석: 남은 희망, 앞으로 기대할 수 있는 바람)이 있겠는가. 이는 다름 아니라 사람이 모두 만물의 이치를 몰라 공연히 헛된 남의 말을 듣고 믿으므로 종시(편집자 해석: 끝내, 결국) 돌이킬 수가 없음이라.

우리가 지금부터 시작하여 천지 일월성신(편집자 해석: 천체, 하늘의 해·달·별)과 상설우로(霜雪雨露, 편집자 해석: 하늘에서 내리는 여러 기상 현상, 자연의 기후와 날씨)의 어찌된 이치를 알게 하기 위하여 박물신편(博物新編, 편집자 해석: 서양 과학 지식을 번역·소개한 새로운 학문서)을 종종 번역하여 낼 터이니, 호수(號數, 편집자 해석: 책이나 간행물의 차례 번호)를 따라 합하여 놓으면 새 학문 책 한 권이 착실히 될지라. 이 중에서 천지 이치를 알아볼진대 만물이 다 귀신에게 속한 것이 아니고, 사람의 지식을 따라 번개를 잡아 전기를 쓰며, 바람을 타고 비를 물리치는 법을 아무라도 배우면 되는 줄을 깨달을지라.

간(間, 편집자 해석: 사이, 틈) 긴 시국에 긴요한 소문(所聞, 편집자 해석: 자기가 들은 이야기나 정보) 소견(所見, 편집자 해석: 자기가 본 견해나 의견)이 있을 때에는 다른 말로 낼 터이니 더욱 주의하여 볼지어다.

(다음 호는 11월27일 제6권 제9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