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 왼쪽)과 모디 인도 총리.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보복성 50% 관세를 27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 조치는 미국과 인도 간의 무역 협상 결렬에 따른 강경한 대응으로 분석된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27일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27일 오후 1시 1분, 인도 표준시 기준 27일 오전 9시 31분)부터 인도산 제품에 대한 50% 관세가 적용됐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5일 이 같은 내용의 초안을 공고한 바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공고문을 통해 "27일 오전 0시 1분 이후 소비 목적으로 수입하거나 (보세) 창고에서 출고되는 인도산 제품에 관세가 부과된다"고 밝혔다. 다만, 인도적 지원 물품과 상호 교역 프로그램 대상 품목 등에는 이번 50%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국가별 관세(상호관세) 26%를 부과했으며, 이후 양국은 5차례에 걸쳐 협상을 진행했다. 그러나 미국산 농산물 등에 부과하는 인도의 관세 인하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 중단 문제를 놓고 양국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석유 거래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기존 상호관세 25%에 보복성 25%를 더한 총 50% 관세를 인도산 제품에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최근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늘려 우크라이나 전쟁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이번 조치에 힘을 실었다.

반면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가 경쟁력이 높아 이를 사지 말라는 압력은 정당하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블룸버그는 50% 관세가 미국이 아시아 교역국에 부과한 세율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주요 경제국인 인도가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과의 무역에서 침체기를 맞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베트남 등 경쟁국과 비교해 인도의 수출 경쟁력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인도 경제는 수출보다는 내수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이번 50% 관세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지난해 인도의 대미 수출액은 874억 달러(약 121조9천억 원)로 미국은 인도의 최대 수출 시장이었으나, 이는 인도 전체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2%에 불과한 수준이다.

프랑스 글로벌 금융기업 나티시스(Natixis)의 수석 경제학자인 찐 응우옌은 최근 보고서에서 "외부 압박이 인도의 지연된 개혁에 속도를 붙일 수도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