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연합뉴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28일(현지시간) 2025년 AI 분야 영향력 있는 100인(TIME100 AI 2025)을 선정, 리더·혁신가·개척자·구상가 4개 부문으로 발표했다.

리더 부문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및 xAI 최고경영자(CEO, Chief Executive Officer), 샘 올트먼 오픈AI(Open Artificial Intelligence) CEO,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마크 저커버그 메타(Meta) CEO, 앤디 제시 아마존(Amazon) CEO, 웨이저자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회장이 포함됐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사진=연합뉴스


타임은 머스크의 엑스에이아이(xAI)가 “122일 만에 버려진 공장을 세계 최대 슈퍼컴퓨터 콜로서스로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올트먼은 “학사 학위 없이 협상력과 카리스마로 AI를 선도한다”고, 황은 “엔비디아의 AI 칩 수요로 기업 가치 4조달러를 돌파, 미국의 중국 견제 전략 중심에 섰다”고 소개했다.

손정의는 “1천800억달러를 AI 벤처에 투자”하며 혁신을 주도한다고 밝혔다.

최예진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사진=맥아더재단/연합뉴스


한국계로는 최예진 스탠퍼드대 교수와 조앤 장 오픈AI 모델 행동 총괄이 구상가 부문에 선정됐다.

최 교수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졸업, 코넬대 박사, 2022년 맥아더 펠로십 수상자인 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전문가로, “소규모언어모델(SLM, Small Language Model)을 연구해 비용·에너지 효율성과 공정성을 높이며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지배를 막는다”고 타임은 평가했다.

조앤 장은 스탠퍼드대 응용수학·컴퓨터과학 전공, 드롭박스(Dropbox)·구글(Google)을 거쳐 2021년 오픈AI 합류, “사용자 목표 달성을 지원하며 AI 연구소의 심판자 역할을 경계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