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한미 무역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1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한미 무역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15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했다.

여 본부장은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 입국 후 특파원들과 만나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며 “디테일을 갖고 치열하게 협상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미국무역대표부) 대표 등을 만나 국익 반영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는 지난 7월 30일 타결한 무역협상에서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의 대미 투자 3천500억달러(약 486조원)를 합의했으나 세부 사항 이견으로 최종 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 8일 워싱턴 실무협의와 12일 뉴욕 장관급 회담에서도 대미 투자 방식 등 쟁점이 좁혀지지 않았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11일 인터뷰에서 “한국이 아직 서명하지 않은 점을 거론하며 한국은 협정을 수용하거나 관세를 내야 한다”고 압박했다.

여 본부장은 협상 난항 지적에 “전체를 보고 이해해달라”며 “국익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결과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구금 사태 영향에 대해 “미국 측에서도 과했다고 하는 분위기”라며 “우리 기업 이해를 반영하기 위해 강하게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이 16일부터 대미 자동차 관세 15% 적용을 앞두고 “우리도 최대한 빨리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며 “협상 과정이니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3천500억달러 투자 방식 이견에 “모든 의견을 분석 중”이라며 “국익에 최선의 결과를 가져올 방안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통화 스와프(자국 화폐를 상대국에 맡기고 환율로 통화 빌림) 관련 질문에는 “구체적인 부분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변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