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17일 "서울을 드론 방어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급변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북한의 드론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직시하고, 수도 서울의 방어 역량을 선제적으로 강화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오 시장의 이 같은 발언은 이날 시청에서 열린 '제5차 서울시 안보포럼'에서 'AX(인공지능 전환) 시대 드론 전쟁, 서울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나왔다.
서울시가 2023년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시작한 안보 포럼은 그동안 북한의 전자기 펄스(EMP, Electromagnetic Pulse) 위협과 서울 도시 기능 유지 방안, 메가시티 대(對)드론 체계 구축을 위한 민·관·군 협력 방안 등 시민 안전과 수도 서울의 역할을 폭넓게 논의해왔다.
이날 포럼에는 오세훈 시장과 이우현 수도방위사령관 직무대행을 비롯해 정부, 산업계, 전문가 등 약 300명이 참석하여 드론 위협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오 시장은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이 전장의 '게임 체인저'임을 목격했고, 북한의 드론 전술 고도화 등 드론 위협은 현실이 됐다"고 강조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체계를 수립할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서울시는 이러한 드론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세계 최초의 대도시형 대(對)드론 체계' 구축에 나섰다.
지난해 6월 제3차 안보포럼에서 제시된 '서울형 대(對)드론 체계 구축 방향'을 바탕으로 연구와 실무협의, 그리고 실제 실증 훈련까지 거치는 등 착실히 준비해왔다.
시는 이 같은 기반 위에서 내년부터 여의도를 중심으로 민·관·군·경이 함께 국가중요시설을 지키는 대(對)드론 체계 시범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나아가 2027년에는 '서울시 대(對)드론 체계 구축 로드맵'을 수립하여 수도 서울을 더욱 안전하고 강력한 드론 방어 선도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오세훈 시장의 이번 선언은 국가 안보의 최전선인 수도 서울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의지와 함께, 미래 전장의 핵심 무기인 드론에 대한 대한민국의 선도적인 대응 능력을 전 세계에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