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런슨 신임 한미연합사령관.사진=미 국방부/연합뉴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이 1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미동맹 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과거 중국의 대만 포위훈련을 언급하며 위기 상황에서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중국은 2022년 대만 포위훈련에서 몇 시간 만에 항공기·함정·미사일 체계를 동원해 세계 이목을 집중시키며 전력을 현시했다”며 “일촉즉발 상황이 경고 없이 발생할 수 있고,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억제력과 대비 태세가 준비돼야 한다는 것을 역내에 상기시킨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는 중국의 군사적 도발 가능성을 상기시키며 한미동맹의 결속을 촉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브런슨 사령관은 최근 북·중·러 3국 군사협력 심화에 대응해 “적대 세력들은 그들만의 연합을 만들고 있다”며 “그들의 목표는 우리의 연합에 균열을 내는 것인데, 그들이 결탁을 강화하는 속도보다 우리가 더 빠르게 결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미사일·사이버·우주 기술을 이전해 북한군 능력을 끌어올리고, 북한·러시아·중국이 합동 정찰·해상 기동·경제 교류로 국제 질서를 약화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동북아·인도·태평양 안보는 어떤 국가도 혼자 짊어질 수 없다”며 “한미일 3자 협력과 다자협력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빠르게 진화하는 위협에 대응해 동맹도 현대화한다”며 “단순 장비 현대화가 아니라 조직·정책·관계까지 포함한 현대화로 동맹이 뒤처지지 않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한미동맹 강화 전략을 반영한 것으로, 중국의 대만 공격 준비(시진핑 주석 2027년 지시)와 북·중·러 협력을 견제하기 위한 발언으로 보인다.
한미동맹재단·주한미군전우회 주최 콘퍼런스에는 국방·외교 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