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대출 1천70조 '최대'…영세소상공인 연체율 12년내 최고.사진=연합뉴스
한국 경제의 핵심 축인 자영업자들의 금융권 대출이 1천70조원에 달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저소득 영세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은 1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한국은행은 자영업 취약 대출자를 전체 경제의 뇌관으로 지목하며 집중적인 정책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은행이 1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의원과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영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기말 기준)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1천69조6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약 1백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사업자대출 보유자를 자영업자로 간주하고, 이들의 개인사업자대출과 가계대출을 합산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지난 1분기 말 1천67조6천억원과 비교했을 때 불과 3개월 사이 2조원 늘어난 수치로, 지난 2012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자영업자 대출 규모 추이.사진=한국은행/연합뉴스
자영업자 대출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사업자 대출은 723조3천억원, 가계대출은 346조3천억원을 차지했다.
이 중 사업자 대출 잔액 또한 지난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규모이다.
자영업자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은 2분기 말 현재 750조5천억원으로, 1분기 753조3천억원 대비 2조8천억원 감소했지만, 다중채무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4억3천만원으로 넉 분기 연속 유지됐다. 이는 다중채무자 수가 175만7천명에서 173만8천명으로 줄어든 영향이다.
다중채무자는 가계대출 기관 수와 개인사업자대출 상품 수의 합이 3개 이상인 대출자를 의미하며, 이들은 사실상 추가 대출이 어려운 한계 상황에 놓인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자영업자의 연체액(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2분기 말 총 19조원으로 추산되어, 역대 최대였던 1분기 말 20조1천억원보다 1조1천억원 감소했다.
이에 따라 연체율도 1.88%에서 1.78%로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소득 하위 30%에 해당하는 저소득 영세 자영업자의 경우 대출과 연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소득수준별 자영업자 대출잔액·연체율 추이.사진=한국은행/연합뉴스
저소득 자영업자의 2분기 대출 잔액은 141조3천억원으로 1분기 137조5천억원 대비 3조8천억원 늘어나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중소득 자영업자 대출이 1조2천억원, 고소득 자영업자 대출이 7천억원 각각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이다.
저소득 자영업자의 연체율은 3개월 사이 1.92%에서 2.07%로 0.15%포인트(p) 상승했다.
이 연체율은 지난 2013년 3분기 2.84% 이후 11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이들의 대출 증가는 주로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소득수준별 자영업자 금융업권별 대출잔액.사진=한국은행/연합뉴스
저소득 자영업자의 2분기 은행권·상호금융 대출 잔액은 각 81조2천억원, 48조8천억원으로 1분기 대비 1조3천억원, 2조5천억원씩 늘어났으며, 모두 지난 2012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기록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최근 자영업 취약차주가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취약차주의 연체 진입률·지속률도 모두 오르는 등 취약차주의 부실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확대·장기화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자영업자 소득 회복을 위한 정책 지원과 취약차주 맞춤형 채무조정 등을 대책으로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