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사진=스웨덴 왕립과학원/연합뉴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3일(현지시간) 조엘 모키어(79, 미국 노스웨스턴대), 필리프 아기옹(69, 프랑스 콜레주 드 프랑스·아이엔에스이이에디(INSEAD, Institut Européen d'Administration des Affaires)·엘에스이(LSE, London School of Economics)), 피터 하윗(79, 미국 브라운대)에게 2025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창조적 파괴를 통한 혁신 과정. 성장을 창출하고 점차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꾼다.사진=스웨덴 왕립과학원/연합뉴스

왕립과학원은 “지난 2세기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빈곤 퇴치와 번영의 토대를 마련했다”며 “수상자들은 혁신이 진보의 원동력임을 설명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모키어는 역사적 자료를 활용해 기술 진보로 지속가능 성장이 뉴노멀이 된 원인을 규명했으며, 사회의 개방성과 변화 허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3일(현지시간) 올해 노벨경제학상 조엘 모키어·필립 아기옹·피터 하윗 3인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사진=연합뉴스

아기옹과 하윗은 1992년 논문에서 창조적 파괴(새로운 제품이 기존 기업을 시장에서 밀어내는 현상)를 수학적 모델로 정립했다.

아기옹은 “개방성은 성장의 원동력”이라며 “미국의 보호주의는 세계 성장과 혁신에 해롭다”고 비판했다.

존 하슬러 위원장은 “경제 성장은 당연하지 않으며, 창조적 파괴 메커니즘을 지켜야 정체를 피한다”고 밝혔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조엘 모키어(79), 필리프 아기옹(69), 피터 하윗(79) 등 3인에게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하기로 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상금 1천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4천만원)는 모키어가 절반, 아기옹과 하윗이 나머지 절반을 나눠 받는다.

시상식은 12월 10일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