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장에게 속기록 보여주며 항의하는 국민의힘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감사원 등에 대한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추미애 위원장의 회의 진행 방식에 대해 항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여야는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감사원의 ‘쇄신TF’ 운영과 전·현 정권의 감사 결과를 놓고 상반된 주장을 펼치며 충돌했다.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정치 표적 감사’를 비판하며 자성을 촉구했으나, 국민의힘은 TF를 ‘감사 뒤집기’로 규정해 반발했다. 이 과정에서 위원장과 감사원장 간 고성 언쟁으로 국감이 파행을 반복했다.

민주당 전현희 의원은 “윤석열 정권의 정치적 표적 감사, 하명 감사 의혹에 자성하고 재점검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헌법 기관으로서 위상을 되찾는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서해 공무원 감사와 통계 조작 감사를 각각 “고문에 가까운 고강도 감사”, “직권남용 소지 감사”로 규정하며 “감사원 책임자를 처벌하고 징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국민의힘 신동욱 의원은 “최재해 감사원장이 스스로 한 감사를 뒤집으려는 취지로 쇄신TF를 만들었다”며 “전 정부 감사 결과를 다시 감사하는 것은 감사원의 신뢰와 정통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질의에 답하는 최재해 감사원장
최재해 감사원장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감사원 등에 대한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조배숙 의원은 “국가 통계 조작,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서해 공무원 피살 은폐,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 비리,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북한 감시초소 철수 부실 검증, 사드 배치 지연 등 감사는 이미 끝났다”며 “감사원이 이를 뒤집으려는 시도 아니냐”고 따졌다.

그는 정책 감사 폐지 결정도 “감사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잃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최재해 감사원장은 쇄신TF에 대해 “직제 규칙에 특별반 운영 근거가 있으며 위원회 의결 감사 결과를 뒤집겠다는 뜻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는 “과거 감사 과정에 비판 목소리가 있었고, 그런 일이 있었는지 반성하며 고칠 부분을 찾는다”며 “TF 출범은 제가 감사원에 있을 때의 감사를 되짚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미애 법사위원장은 최 원장을 향해 “감사원이 도구로 이용됐다면 ‘제 불찰이고 사죄한다’는 정도는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 원장은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그런 일이 없었다”며 “포괄적 추측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추 위원장은 “그럼 법사위원들이 허위 조작을 하는가”라고 따졌고, 최 원장은 “대통령실 하명으로 뭔가 했다는 얘기는 모르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질의에 답하는 유병호 감사위원
유병호 감사위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감사원 등에 대한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민주당 및 범여권 의원들은 유병호 감사위원에게도 공세를 퍼부었다.

유 감사위원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사무총장으로 임명돼 ‘감사원 실세’로 불렸다.

이성윤 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계엄 쿠데타 시 유 감사위원이 한 일은 무엇인가”며 “타이거파 수괴로서 감사원이 윤석열에 충성하는 조직이 됐다”고 비난했다.

유 감사위원은 “아무 일도 못 해 죄송하다. 정무직이라 그렇다”고 답했다.

국감은 오전 대법원 현장 검증 논란으로 파행됐고, 오후에도 여야 고성과 언쟁으로 혼란이 지속됐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추 위원장의 공정성 부족을 항의했다.

곽규택 의원의 “뭐가 그렇게 꿀리세요” 발언에 최혁진 무소속 의원이 “곽규택 같은 인간에게 발언 기회를 주면 안 된다”고 소리쳤다.

추 위원장은 국감 내내 곽 의원에게 발언 기회를 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