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국정감사 대책회의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이 21일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위'를 발족하며 10·15 부동산 대책을 고리로 정부를 겨냥한 공세의 고삐를 죄고 있다.

특히 청년의 목소리를 당 운영에 반영하기 위해 발족한 '쓴소리위원회(Straight Talk Committee)' 위원 모집은 11.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청년층의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이는 과거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 국민의힘이 부동산 이슈에 당력을 총집중하는 모습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은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별위원회(특위, Special Committee)'를 공식 발족했다.

장동혁 대표가 위원장을 맡고, 김도읍 정책위의장(정책위원회 의장)이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특위 위원으로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기재위), 정무위원회(정무위), 국토교통위원회(국토교통위)의 야당 간사인 박수영 의원, 강민국 의원, 권영진 의원을 비롯해 조은희 의원, 김은혜 의원, 조정훈 의원 등 재선 의원들과 심교언 전 국토연구원장이 참여했다.

국민의힘 중앙당 청년국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7일까지 진행된 쓴소리위원회 위원 공개모집에 139명의 청년이 지원했으며, 오는 24일 면접 대상자를 발표한 후 대면 면접을 통해 12명을 최종 선발하여 다음 달 중순부터 공식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쓴소리위원회는 청년의 비판을 담은 '쓴소리 보고서' 발간과 내부 정책 토론회 개최 등을 통해 20·30세대 청년층의 목소리를 당 정책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최보윤 수석대변인(수석 대변인)은 "10·15 부동산 대책은 중산층, 서민, 청년의 주거 사다리를 무너뜨리는 최악의 정책"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반시장적이고 비정상적인 정책에 대응해 국민이 원하는 정책 제안을 위한 특위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또한 "장동혁 대표가 특위 위원장을 맡는 것은 당에서 부동산 정책을 우선 현안으로 삼아 힘 있게 추진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이날도 10·15 대책에 대해 '주거 사다리 걷어차기'와 '내로남불'을 키워드로 한 공세를 이어갔다.

송언석 원내대표(원내 대표)는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차관)이 한 부동산 유튜브(YouTube) 채널에 출연해 '정부 정책을 통해 시장이 안정되면 그때 집을 사면 된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을 언급하며 "정말 열불나는 유체 이탈 발언"이라고 비꼬았다.

또한 "국민에게는 '대출은 투기'라고 훈계하면서 정작 본인들은 수십억 원대 부동산을 보유하는 여권 고위층의 노골적인 위선과 내로남불"이라고 지적했다.

김도읍 정책위의장(정책위원회 의장)은 전날 더불어민주당이 부동산지원대책 태스크포스(TF, Task Force)를 구성한 것을 두고 "국민적 저항에 부딪히자 다시 대책을 고치겠다고 태스크포스(TF)를 만드는 것은 '갈지(之)자 부동산 정책 실패'를 자인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원내 정책 수석 부대표)는 "이 정부 고위직은 이미 30억에서 40억 원짜리 알짜 부동산을 보유해놓고 '집값 떨어지면 그때 집 사라'는 건 굶고 있는 사람 앞에서 자신은 폭식하고 나중에 밥 먹으라고 조롱하는 꼴"이라며, 이는 "주식 사놓고 주가 올리는 시세 조작과 다름없는 진정한 서민 약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영혼을 끌어모아 집을 사는 '영끌' 시대는 저물고 이재명 정부 인사들만 시세를 끌어모아 노나는 '명끌' 시대가 오고 있다"며 "서민은 주거 난민으로 살고 민주당 정치인은 부동산 엘도라도(El Dorado)에 사는 세상이 10·15 대책의 종착점이며, 대책 철회가 답"이라고 촉구했다.

최은석 원내수석대변인(원내 수석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민심은 이미 등을 돌렸다"며 "이재명 정권은 더 늦기 전 엉터리 대책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공급 확대를 포함한 상생의 부동산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