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17일 월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서양에서 동으로 뻗어오는 형세(3))
이상에 연일 말한 바는 다 유럽 주 사람들이 당초에 정치와 교화를 변혁하여 문명에 이르므로, 인종이 번성하여 땅이 좁은지라. 세상에 퍼져 동양에까지 뻗어온 근인과, 개척 식민하는 법의 몇 가지를 기록함이거니와, 또한 법이 있어 약한 나라와 통상교섭 하다가 그 나라의 내란을 타서 취하는 법이라.
대개 정사가 확실히 개화 못된 나라에는 내란이 자주 나는 법이오, 내란이 잦음은 이웃 나라에 해 되는 고로 이웃 나라가 항상 간예(干預, 편집자 해석: 간섭하고 참견함)하나니, 수백 년 전에는 아라사(편집자 해석: 러시아)와 프러시아(편집자 해석: 프로이센. 독일 통일 이전의 강대국 중 하나로, 현재는 독일의 일부가 된 역사적 국가)와 오스트리아 삼국이 파란 국(폴란드)을 멸하고 땅을 나누었으며, 칠년 전에는 미국이 쿠바를 위하여 전쟁하고, 마닐라(여송)와 필리핀 섬을 차지하였는지라. 각국이 자초로 이런 법을 쓰되 미국은 홀로 불가하다 하여 남의 토지를 엿보지 않더니, 전 대통령 매킨리(William McKinley) 씨의 창론(唱論, 편집자 해석: 어떤 주장을 공개적으로 제창하거나 논의함)함을 인연하여 토지 넓히기를 주의하니, 이 역시 시세에 끌림(편집자 해석: 시대의 흐름이나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아 움직임)이로다.
그 외에 아라사는 토지가 아무리 넓으나 적도북방 극한(極寒, 편집자 해석: 매우 추운 지역)한 지방에 있어 얼지 않는 항구가 없는 고로, 일년에 반년은 군함을 무상시(편집자 해석: 평상시,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에 출입하되, 겨울 반년 동안은 졸지에 급한 일이 있어도 쓰지 못하는지라. 겸하여 삼십여 년 전에 유럽 각국이 아라사를 막아 흑해 밖으로 군함을 나오지 못하게 하였으므로, 이후로는 더욱이 어찌할 수 없는 고로, 일천구백 년 동안에 청국 지방에서 여순구(편집자 해석: 현재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의 한 지역)와 대련만(편집자 해석: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 인근의 해역)을 얻어 군함 출입하는 항구로 만들고, 시베리아 철도를 놓아 요동(편집자 해석: 중국 동북부 랴오닝성의 반도 지역)으로 뻗치는 대 철로를 통하므로, 이때부터 아시아 동방 육지와 청국과 대한 사이에 있는 황해에 아라사의 세력이 한량(편집자 해석: 제한이 없다, 매우 크다)이 없는지라.
지금 대한에 와서 경흥철로(편집자 해석: 서울에서 시작해 함경북도 경흥까지 이어지는 철도의미 하며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는 경로)를 주의하며, 마산항을 거쳐서 은밀히 운동하는 하는 힘이 또한 적지 않은 모양이라. 대한 관민들은 다 아는지 혹 다 알고 조처할 방책이 미리 있는지 말하는 사람도 없고 걱정하는 모양도 보지 못하니, 어찌 다시 청국에 대련만 여순구가 되지 않을 줄을 믿으리오.
지금 청국이 아무리 쇠패하고 잔약(편집자 해석: 매우 약하고 쇠약하다)하다 하나, 무엇으로 보든지 대한에 비하면 아직도 몇 배 나은 청국이 그 장악에 들어 눈을 뻔히 뜨고 도(편집자 해석: 조차, 마저) 벗어나지 못하거늘, 하물며 몇 배 못한 대한이 홀로 그 수단을 면하기 어찌 용이하다 하리오.
다만 청국보다 낫기를 바라는 것은, 토지가 적고 인민이 많지 아니하여 과히 다스리기 어려울 처지가 아닌즉, 지금이라도 정부에 사람만 몇몇이 있어 죽기로써 기약하고 전국을 혁신하여 보려 할진대 청국보다 대단히 쉽고 속할 것이니, 그런 후에는 아라사는 고사하고 세계 만국이 다 와도 두려울 것도 없고, 만국에 세력을 합한 자라도 당초에 엿볼 생각이 없을 것이거늘, 종시 이 개명 직책을 경영하는 자도 없거니와 하는 일들은 청국보다 몇 층 더 못한 정사라. 이 좋은 토지 삼천리를 전혀 협잡(俠雜, 편집자 해석: 옳지 못하는 방법으로 남을 속이는 일). 탐학(貪虐, 편집자 해석: 탐욕스럽고 포학한 행위), 비패(鄙悖, 편집자 해석: 비열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태도)한 정치에 부쳐놓고 각 군에 명령을 끝까지 시행하며, 각국에 흔단(釁端, 편집자 해석: 분쟁의 단서, 싸움의 씨앗)은 날마다 내어 놓으나, 슬프다, 저 정치를 개명하여 인민이 날로 늘므로 남의 토지로 옮기는 나라는 어떤 세상이며, 당당한 내 천하로 정치를 잘못하여 인민이 날로 쇠하여 가며 권리를 보존하기 어렵게 되는 나라는 장차 어찌할꼬. (완)
(다음 호는 10월27일 제263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