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18일 화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대한의 근일 정형(1))
대한 속담에 등잔 밑이 어둡다 하며, 외국인의 속담에 런던 소문을 들으려거든 파리로 가라 하나니, 대한 소문을 들으려거든 일본으로 가야 자세히 들을지라.
우리는 미쳐 듣지도 못할 일을 날로 드러내어 신문 잡지 등에 날마다 나는 것이, 깊은 궁중에서 한둘이 비밀히 의론하는 말이나, 정부의 몇몇 관인이 가만히 운동하는 소문을 낱낱이 전파하는 데 실로 기괴망층(奇怪罔測, 편집자 해석: 기이하고 괴상하여 도무지 헤아릴 수 없다) 하여 대한 사람이라고는 얼굴이 뜨뜻하여 차마 보지 못할 말이 많은지라. 실로 혈기 있는 정부는 곧 탈에 엎디어(편집자 해석: 탈이 엎디어-병이나 충격으로 인해 쓰러지다) 죽고 싶은 생각이 몇 번씩 나나니, 저 아무것도 보도 못하고 세상사를 다 자기가 혼자 알며, 남은 귀도 없고 눈도 없는 줄로 알아, 그 수모 중에서 가장 호강스레 지내는 사람들에게 비하면, 공연히 세상일을 아는 것이 도리어 병이라 하겠도다.
그러나 일본에서 오는 신문 잡지 등에는 너무 해참(駭慚, 편집자 해석: 놀랍고 부끄럽다)하여 대한 신민 된 충분(忠憤, 편집자 해석: 충성심에서 우러나온 분노)한 자의 입으로 옮기기 어려운 말이 많으므로, 우리가 흔히 얻어 보기도 원치 않거니와, 혹 보고도 번역하지 않되, 이 대한에 밝은 양반네들은 혹 오히려 우리에게 외국인의 의견을 옳게 여긴다 하며, 간혹 정치상 득실을 말할진대, 내 나라 흉담(凶談, 편집자 해석: 나라에 대한 나쁜 이야기, 불길한 소문)을 내어 외국인이 보게 하니 대단히 불가타 하는지라.
슬프다. 이런 어두운 인류들의 말은 별로 논란할 것 없거니와, 내 나라 사정을 제일 모르는 사람은 대한 백성이라. 서양 사람은 동양 정치관계를 말할진대 의례히 청국이나 일본을 의론할 뿐이고, 대한 일에는 별로 말하는 자가 드무나, 우리나라 내정을 알기는 통히 대한정부 대관 네보다 오히려 소상한지라. 근자에 미국 학사 아더 브라운 씨가 대한에 와서 일삭(편집자 해석: 한 달 정도의 기간) 가량을 유람하고 돌아가 유람기를 내어 대한 정치사정을 그 중에 대강 말하였는데, 관계가 적지 않기로 연일 번등(翻謄, 편집자 해석: 번역하여 옮겨 적다)할 터이니, 우리나라 상하 관민 간에 일체로 주의하여 보아, 남이 내 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이 사정을 기재하는 터인즉, 우리를 어떻게 평론하는지 깊이 생각하여 보기를 바라노라.
그러나 그 글을 번역하는 중에도 오히려 그 뜻을 다 옮기기도 어렵고 또한 다 하기 어려운 말도 있으니, 불가불(편집자 해석: 반드시 해야 한다, 어쩔 수 없이 하게 된다) 말과 글이 자라는 대로 대강 뽑아 올릴지라. 우리나라 소년들이 외국 글자를 속히 공부들 하여 참 개명한 학문과 법률 서책도 보며, 이런 신문 월보(편집자 해석: 한 달에 한 번 발행되는 보고서나 간행물) 등서를 볼 줄 알아 세상 사람들의 공론도 들어보며, 의견도 알아 차차 완고한 옛 생각을 버리고 새 의사를 두어 차차 내 나라 일도 알고 남의 세상도 보아 사람마다 우물 속의 고기를 면하고 광활한 바다를 향하여 넓은 천지를 구경할진대, 인민의 지혜와 식견이 늘어 몇 해 안에 나라에 지혜 있고 개명한 사람이 충만할지니, 이 어찌 나라의 영광이 아니리오.
이런 글을 번역하는 본의는 첫째 이 권리 가지신 이들이 그렇게 여겨 고치기를 권함이오, 둘째 이 권리 아니 가진 이들이 듣고 배워 새 의견이 나기를 권함이라. 그러나 그 의론에 시비곡직(是非曲直, 편집자 해석: 사리의 옳고 그름과 바름과 그름을 따지는 것)은 본사에서 모르는 바라, 다만 본문을 따라 번등할 뿐이로다. (미완)
(다음 호는 10월30일 제265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