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방부는 17일 미국 정부의 대만 무기 판매 승인에 대해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하며,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장샤오강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와의 문답 형식으로 입장문을 발표했다.
장 대변인은 미국의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가 "하나의 중국 원칙과 중미 3개 공동성명 등 양국 관계의 주요 성명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중국의 내정에 거칠게 간섭하고 중국의 주권과 안전 이익을 훼손하며 '대만 독립' 분열 세력에 중대한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장 대변인은 이에 대해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하고 미국 측에 엄정한 교섭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여기서 '엄정한 교섭'은 외교 경로를 통한 항의로 해석된다.
그는 "미국이 대만을 무장시키는 악질적 행위를 즉시 중단하고 양국 및 양국 군 관계 발전에 충격과 영향을 미치는 일을 피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장 대변인은 "무력으로 독립을 돕는 것은 제 몸을 불사르는 것이고, 대만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것은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중국 관영 신화통신 보도를 통해 확인됐다.
앞서 미국 정부는 13일(현지시간) 대만에 3억3천만 달러(약 4천800억원) 규모의 전투기 부품 판매 계약을 승인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재집권한 이후 처음이다.
판매 부품은 대만군의 F-16 전투기, C-130 수송기, 대만 IDF(Indigenous Defense Fighter) 전투기 등의 유지보수에 사용될 예정이다.
미국 국방부는 이 거래가 대만의 항공 전력 작전 준비태세를 강화하고 현재 및 미래 위협에 대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중국 국방부 입장은 최근 중일 갈등 고조와 맞물려 나온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현직 일본 총리가 공식 석상에서 대만 문제에 대한 군사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첫 사례로, 중국의 강한 반발을 샀다.
중국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을 "노골적으로 도발적인 발언"으로 규정하며 주중 일본 대사를 초치해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중국의 거듭된 항의에도 일본은 여전히 반성하지 않고 관련 발언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에 해경선을 파견해 무력 시위를 벌였고,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과 유학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는 조치를 내렸다.
이는 일본 관련주 하락과 고위급 교류 중단으로 이어지며 양국 관계가 수교 53년 만에 최악의 외교전으로 치닫고 있다.
대만 정부는 미국의 무기 판매 승인을 환영하며 "대만의 방위 능력 강화를 지원하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대만 국방부는 이 부품이 공군의 전투기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방공 역량을 강화하며 중국의 '회색지대' 침입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제 사회에서는 이번 사건이 미중 갈등을 심화시키고 동아시아 안보 불안정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 국방부는 "미국의 행위가 대만을 전쟁의 불길로 몰아넣는 시도"라고 규정하며, 추가 조치를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