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로벌채용박람회.사진=연합뉴스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 10명 중 6명은 졸업 후에도 서울에서 일자리를 구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비수도권 인구 감소 해소를 위해 유학생 지역 정주를 유도하고 있지만 정반대 결과가 나오면서 정책 세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교육개발원(KED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은 20일 온라인 설명회에서 최정윤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인구절벽 위기 극복의 가능성과 향후 과제’ 연구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20만8천명으로 2007년 4만9천명 대비 4.2배 증가했다.

학위과정 유학생은 3만2천명에서 14만5천명으로 4.5배, 비학위과정(어학연수 등)은 1만7천명에서 6만3천명으로 3.7배 각각 늘었다.

특히 대학원 과정 유학생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고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비수도권 대학은 이 증가 효과를 거의 누리지 못했다.

4년제·전문대·대학원 모두 수도권 대학의 유학생 비중은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일제히 감소했다.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비학위과정 비중만 2014년 39.1퍼센트(%)에서 지난해 45.0퍼센트(%)로 늘었는데, 이는 유학생이 지역에 머무는 기간이 짧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최 연구위원은 “비수도권 대학의 어학 프로그램을 기착지로 삼아 서울 소재 대학으로 편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졸업 후 취업 희망 지역을 묻는 설문(316명 대상)에서도 서울 선호가 압도적이었다.

응답자의 62.0퍼센트(%)인 196명이 서울을 꼽았다.

서울에서 공부하는 유학생 121명 중 116명, 경기·대전 유학생도 대부분 서울을 선택했다. 반면 부산·대구 등 대도시권 유학생은 지역 내 취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 연구위원은 “서울은 일자리와 문화·생활 인프라가 뛰어나 매력적”이라면서도 “부산·대구 등 일부 지역에서 지역 정주 의향이 높게 나온 점은 노동시장과 정주 여건이 개선되면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그는 비수도권 정주를 유도하려면 ▲ 유학생 유치-학업-취업-정주 단계별 특성 분석 체계 구축 ▲ 부처·지자체·대학 간 정책 목표 조율과 명확한 실행 목표 설정 ▲ 지역 중장기 산업 발전 계획과 연계한 맞춤형 유학생 지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