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포럼 참석한 주한미국대사대리와 외교부 1차관
2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미의원연맹 창립기념 제1회 한미외교포럼에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 대리(오른쪽)와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이 참석해 있다.사진=연합뉴스
주한 중국대사관은 20일 미국 관료들이 연이어 한미동맹 현대화의 배경을 대중(對中) 견제 필요성으로 꼽은 데 대해 공식적인 '놀라움과 불만'을 표명하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대사관은 이날 배포한 '미국 관료의 잘못된 발언에 대한 주한 중국대사관 대변인의 질의응답' 형식의 글에서 "주한 미국대사관 대사대리 및 미군 고위 관료의 관련 발언을 유의했으며 놀라움과 불만을 표한다"라고 밝혔다.
이는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 전략적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을 향한 미국의 대중 견제 요구에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사관은 "얼마 전 중미(中美), 중한(中韓), 한미(韓美) 정상이 한국에서 회담을 가졌고, 미국 측 관료의 발언이 지도자들의 합의 정신에 맞지 않는다"라고 지적하며, 한미동맹의 성격이 중국 견제로 변질되는 것에 대한 강력한 우려를 드러냈다.
또한 "미국 측이 중미, 중한, 한미 관계에 도움이 되는 일을 많이 하고, 이간질하거나 시비를 걸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강조하며 한국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할 것을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앞서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대리는 20일 한미의원연맹이 개최한 제1회 한미외교포럼에 참석하여 중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으나, "한미는 협력해서 공통의 도전과제에 대응해야 한다"며 사실상 중국 위협에 대응한 한미 동맹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대사대리는 특히 중국의 서해 구조물 설치 활동 등을 겨냥하여 "특히 서해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면 알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그렇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 국방비를 증액하고 핵잠수함과 같은 새 역량을 도입하며 도전과제에 대응하기로 한 것"이라고 밝혀, 한미 양국 정상이 국방력 강화로 중국 견제에 나섰음을 시사했다.
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 역시 최근 방한하여 한국의 핵잠수함이 "중국 억제에 활용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발언했다.
그는 "미국은 동맹과 함께 협력해 핵심 경쟁적 위협인 중국 관련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덧붙이며, 한국의 군사력 증강이 미국의 대중국 전략에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미국 고위 관료들의 잇따른 발언은 한미동맹의 본질이 중국 견제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음을 드러내는 동시에, 미·중 간 대립 구도가 한반도 안보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