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내년 말까지 2나노미터(㎚) 파운드리 공정 생산능력을 현재 대비 2배 이상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일 보고서에서 삼성전자가 2나노 공정 수율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내년 말 월 2만1천장(wpm) 수준까지 생산능력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월 8천장 대비 163퍼센트(%)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2나노(SF2) 공정에서 테슬라의 인공지능(에이아이, AI) 칩, 삼성 시스템LSI의 엑시노스 2600, 마이크로BT·카나안의 채굴 주문형 반도체(ASIC), 퀄컴 스냅드래곤 8s 엘리트 5세대 등 최소 5개 주요 고객사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엑시노스 2600은 SF2 공정 최초 양산 시스템온칩(SoC)이 될 전망이다.
퀄컴은 내년 초 SF2 공정에서 스냅드래곤 8s 엘리트 5세대의 테이프아웃(Tape-Out)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며, 수율이 안정되면 갤럭시 Z 플립8 등에 우선 탑재될 수 있다.
삼성전자 2나노(SF2) 공정 주요 고객사.사진=카운터포인트리서치/연합뉴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수율 안정화와 미국 테일러 팹의 원활한 양산이 관건”이라며 “조건이 충족되면 여러 세대 만에 처음으로 TSMC와의 선단 공정 격차를 의미 있게 좁힐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2분기 전 세계 파운드리 점유율은 TSMC 71퍼센트(%), 삼성전자 8퍼센트(%)로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